Ⅰ. 서론
21세기를 정보화 사회 또는 지식기반사회를 넘어 문화의 시대라고 말하며 종국적으로 국가경쟁력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더욱이 세계경제는 고용창출과 지식기반의 핵심산업인 문화산업에 이어서 빠른 속도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성공이 이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고 평가하고 있다(고정민, 2002). 국내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발전은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영화의 부흥과 아울러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동양 점유율 1위인 CJ그룹의 CGV와 메가박스, 프리미엄 상영관을 모토로 내걸고 있는 프리머스, 롯데그룹의 롯데시네마 등이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과거 중소규모의 영화관들도 생존을 위해 이런 추세에 편승하여 뒤늦게 멀티플렉스 환경으로 리모델링하거나 건물을 신축하고 있다.
1999년 최초로 CJ가 CGV강변점에 입점하면서 시작된 국내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붐은 2005년 전국에 상영관이 158개(2004년 영화진흥위 통계)로 확대되면서 국내 영화시장의 흐름을 바꾸어가고 있으며 매년 성장을 하고 있다(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그러나 지금은 영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포화상태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여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메이저 빅3라고 불리는 메가박스, CGV, 롯데시네마는 과당경쟁의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영화산업은 소비자에게 탁월하고 가치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을 통한 질적 성장을 이루고 그에 따른 시장점유율 향상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조철호, 2008).
이렇듯 영화산업에서도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고객보상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적립된 포인트를 현금가치로 보상하는 포인트카드 프로그램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유사한 경쟁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고객보상프로그램의 인센티브는 혜택이 아닌 표준적인 서비스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고 있고, 고객유인력이 약해지고 있다(Shugan, 2005). 따라서 경쟁적 시장상황에서 기존고객만을 대상으로 하는 포인트카드는 그 역할이 작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기업 내외부적인 제휴를 통한 제휴카드할인 프로그램이 등장하였다. 기존고객뿐만 아니라 신규고객까지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새로운 판촉형태로 볼 수 있고 제휴카드할인은 사용조건이 카드 사용실적 등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적인 할인기회라는 점에서 상시할인프로그램과도 성격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효과적인 고객확대 및 관리를 위해서는 포인트카드 뿐만 아니라 제휴할인카드도 중요한 대안으로 고려해야 한다(Shugan, 2005).
기존의 연구는 주로 소비자의 관점에서 인식이나 의도에 관하여 이루어졌고, 기업 성과의 측면에서 유인과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제휴카드할인과 고객보상프로그램을 기업의 유인과 효과 측면에서도 실증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신영식, 차경천 2011). 그리고 포인트카드 및 제휴카드와 관련된 연구와 더불어 국내 영화관과 해외영화관과의 할인제도를 비교하면서, 국내 영화관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 1.박상오(2003),"복합상영관의 고객애호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이유재(2000),서비스마케팅,학현사,서울.
· 3.곽준식(2008), “마일리지보상방법(즉각적보상 VS.점진적 보상)이 점포 전환에 미치는 영 향:매몰비용 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19(1), 149-16 7.
· 4.김경식, 이석규(2007), “소비자의 보상물 선택결정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노력수준을 중 심으로,” 마케팅연구, 22(1), 1-19.
· 5.김상조, 김용호(2006), “로열티 보상유형과 보상인식이 로열티 프로그램의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 쾌락적 사치 점유이론과고객의 심리선호 지표를 적용하여,” 광고연구, 71, 61-84.
· 6.김지현(2003), “제휴마케팅의 부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 논문.김현경, 이문규, (2003), “브랜드 제휴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평가,” 경영학연구, 32(3),875-905.
· 7.박상준, 박소진(2008), “고객 보상 프로그램의 비교 가능성과 매개물효과,” 마케팅연구,
· 23(3), 75-92.
· 8.박세훈(2007), “고객 지향적인 보상프로그램의 설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6(2),325-353.
· 9,김문용(2007), “고객 보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매개수단이 보상물의 선택 행동에 미치 는 영향: 포인트와 상품권의 비교,”마케팅연구, 22(3), 159-177.
· 10 , (2008), “보상물의 속성정보특성이 보상물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 관리연 구, 13(2), 41-58.
· 11.박승봉, 한재민(2004), “e-비즈니스에서 마일리지의 새로운 역할: 사적전자화폐의 관 점,”정보시스템연구, 13(2), 119-134.
· 12.박종훈, 김광수(2002), “전략적 제휴와 기업 생산성간의 관계”, 경영학연구, 31(1),165-
· 189.
· 13.이석규, 김경식(2005), “보상물 형태와 제공시기의 상호 작용성이 보상물 선호도에 미치 는 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0(3),85-102.
· 14 , (2005), “고객보상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신규고객유치를 위한 전략적 프레임웤,” 한국마케팅저널, 7(2),123-139.
· 15 , (2006), “고객 지향적 보상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보상물의 다양성과 선택의 제한 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5(6), 1755- 1772.
· 16.이종호, 정현영(2006), “대학생들의 소비행태 및 쿠폰과 제휴카드에 대한 태도 조사,”
· 한국조리학회지, 12(3), 186-200.
· 17.이혜림(2008), “멀티플렉스 10년,무슨일이 일어났나.”무비위크 기사,
· http://www.movieweek.co.kr/article/article.html?aid=8166
· 18.이종규, (2006)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고객보상프로그램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12-15.
· 19.신영식, 차경천 (2011) “베이커리 업계의 고객보상프로그램과 제휴카드 할인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112-116.
· 20. 김주호(2011) “멀티플렉스 영화관 시설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 반응과 재방문 의도에
· 대한 실증연구”
· 21. Chandon, Pierre, Brian Waansik and Gilles Laurent(2000), “A Benefit Congruency Framework of Sales Promotion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64, 65-81.
· 22. Dowling, G. R. and M. Uncles(1997), “Do Customer Loyalty Program Really Work?,” Sloan Management Review,38(Summer), 71-82.
· 23. 영화진흥위원회(한국영화 동향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