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분석 (정의, 역사적 배경, 특징, 주요 영화감독, 작가 및 작품 분석, 네오리얼리즘의 영향 및 시사점)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12.09 최종저작일 2011.12
14P 미리보기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분석 (정의, 역사적 배경, 특징, 주요 영화감독, 작가 및 작품 분석, 네오리얼리즘의 영향 및 시사점)
  • 미리보기

    소개

    네오리얼리즘이란 2차 대전 직후인 1945년경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에서 성행했던 영화 사조로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신사실주의라고 한다. 이 용어는 1942년 이탈리아의 영화 평론가이며 이론가였던 안토니오 피에드란 겔리와 움베르토 바르바로가 루치노 비스콘티의 <강박관념> 이후에 발표된 일련의 새로운 영화적 경향을 지칭하는데 사용한 용어이다.

    목차

    1. 네오리얼리즘의 정의

    2. 네오리얼리즘의 역사적 배경

    3. 네오리얼리즘의 특징
    가. 내용적 특성
    나. 이데올로기적 특성
    다. 앙드레 바쟁의 ‘몽타주 비판’에 입각한 양식적 특성

    4. 주요 영화감독, 작가 및 작품 분석
    가.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 Roberto Rossellini
    ※ 대표작 분석 - <무방비 도시>(1945)
    나. 비스콘티 감독 Luchino Visconti di Modrone
    ※ 대표작 분석 - <흔들리는 대지>(1947)
    다. 빗토리오 데 시카 감독 Vittorio De Sica
    ※ 대표작 분석 - <자전거 도둑>(1948)
    라. 체사레 자바티니 Cesare Zavattini

    5. 네오리얼리즘의 영향 및 시사점

    6. 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2. 네오리얼리즘의 역사적 배경

    유성영화의 출현 이후 통제를 해오던 파시즘 정권은 1933년부터 국내 영화를 보호한다는 핑계아래 적극적 주도를 하기 시작해 그 권한을 넓혀갔다. 공연예술관리국에서는 시나리오를 검토한 후에야 촬영을 허가했으며 대출의 형태로 영화 제작비를 지원했다. 영화가 완성되었을 때 사무국은 엄격한 정치적 윤리적 법규를 적용해서 검열을 실시했는데, 이 검열이 엄격하여 영화에는 살인 장면, 불륜 등의 장면을 금지했고, 성직자, 군인, 경찰들도 영화에 등장해서는 안 되었다, 사회적, 종교적, 섹스 등의 문제들은 영화에서 다루어 질 수 없는 금기사항이었다. 즉, 범죄와 비도덕적인 것이 영화에 등장해서는 안 된다는 지침을 내린 것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영화들은 현실과 완전히 유리되어 있었으며, 오직 이탈리아의 좋은 이미지만 만들어내는 데 여념이 없는 현실과 동떨어진 영화였다. 이 당시의 영화들을 백색전화기 영화라고 부르는데, 이 영화들은 파시스트 정부의 지침을 충실히 지킨 중상류 계급의 멜로드라마장르의 영화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식 있는 이탈리아의 젊은 영화인들은 ‘현실을 담은 영화를 만들어야겠다.’라는 생각아래 물리적, 경제적 상황들이 어려웠음에도 최선을 다해 이전의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진 영화나 할리우드에서 만들어진 영화와는 다른 영화를 만들어 냈고, 그 노력의 결과물이 네오리얼리즘 영화이다.
    그리고 네오리얼리즘영화의 중요한 역사적 배경으로 세계2차대전 전후 상황을 빼놓을 수 없다. 1943년 로마는 독일 군에게 점령당하고 마지막 안간힘을 쓰는 파시즘 세력과 독일 군으로 이탈리아 반도는 전쟁에 휩쓸리게 되고, 이런 상황에서 영화인들을 비롯한 많은 지식인들은 충격적인 전쟁의 현실을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런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 이런 현실들은 젊은 감독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식에 대한 날카로운 점검을 하게 만든다.

    참고자료

    · 김미현 외, 연구 자료집 2002-1 『한국영화 기술사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02
    · 로랑스 스키파노, 이주현 역, 『이탈리아 영화사』, 동문선, 2001
    · 루이스 자네티, 김진해 역, 『영화의 이해 - 이론과 실제』, 현암사, 1999
    · 르네 프레달, 김희균 역, 『세계영화 100년사』, 이론과실천, 1999
    · 앙드레 바쟁, 박상규 역,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
    · 임정택 외, 『세계영화사 강의』, 연세대학교출판부, 2001
    · 잭 씨 앨리스, 변재란 역, 『세계영화사』, 이론과실천, 1988
    · 정태수, 「현실과 표현의 일체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1942~1955)」, 영화교육연구 제7집, 2005
    · 제프리 노웰 스미스,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열린책들, 2005
    · 존 힐 · 파멜라 처치 깁슨 편, 안정효 외 역, 『세계영화연구』, 현암사, 2004
    · 톰슨 · 보드웰, 주진숙 외 역, 『세계영화사 2 (1926~1960s)』, 시각과언어, 2000
    · 홍성남, 유문성 엮음,『로베르토 로셀리니』 , 한나래
    · 유현목,『世界映畵 監督論 / 兪賢穆 著.』 經稅文化院 , 1985
    · 로저 에버트 『위대한 영화』, 을유 문화사, 2006
    · http://www.cineseoul.com/cineseouldb/screendic_view.html?dictID=101&dtype=en&index=I&pos=3
    · http://www.cyworld.com/mhiiiii/1954478
    · http://blog.naver.com/allabbung?Redirect=Log&logNo=100009520260
    · http://cafe.naver.com/artnstud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5
    · http://blog.naver.com/crisium?Redirect=Log&logNo=30001400662
    · http://www.archinous.co.kr/f_study/cinema/HTML/0527/history-fin.htm
    · 앙드레 바쟁과 프랑스 - 작성자 소재형
    · http://blog.naver.com/sjhkinoone?Redirect=Log&logNo=80055207337
    · http://kidm.tistory.com/92?srchid=BR1http%3A%2F%2Fkidm.tistory.com%2F92
    ·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GE&qid=2dgzK&q=%B3%D7%BF%C0%B8%AE%BE%F3%B8%AE%C1%F2+%C7%FC%BD%C4&srchid=NKS2dgzK
    · http://blog.naver.com/ryusju/100000420969
    · 사이먼서치 http://www.simonsearch.co.kr/story?at=view&azi=7171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