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어와 동남아시아어의 자음 체계 및 대응 양상 연구-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동남아시아어의 자음 체계 및 대응 양상 연구-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중심으로
3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12.01 최종저작일 2011.12
37P 미리보기
한국어와 동남아시아어의 자음 체계 및 대응 양상 연구-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소개

    한국어와 동남아시아어의 자음 체계 및 대응 양상 연구-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중심으로

    목차

    1. 마중말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2. 자음체계와 변이음의 분포
    2.1 한국어의 자음과 변이음
    2.2 인도네시아어의 자음과 변이음
    2.3 태국어의 자음과 변이음

    3. 한국어 변이음의 청취적 대응 양상

    4. 배웅말

    본문내용

    1. 마중말

    1.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동남아시아어와 한국어의 자음체계를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특별히 이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인데, 이는 인도네시아와 태국이 동남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한국과의 교류가 많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어 세계화 사업은 국가브랜드위원회의 10대 과제 가운데 하나로 채택되어, 21C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방편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이나 연구 기관들마다 여러 종류의 한국어 학습 교재와 교구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개발의 방향성이 주로 미국이나 중국 또는 일본 등 몇몇 특정 국가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이들 국가들이 한국과 군사적․외교적․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국가 경쟁력의 지속적인 발전과 한국어 보급의 근본적인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와의 교류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국가어나 민족어를 연구하고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학술적 바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한국어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한국어 학습 교재와 교구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언어학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한 언어학적 연구의 가장 바탕이 되는 것이 나라별 음소체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음소체계의 비교는 자음과 모음 및 운소의 체계를 비교하는 것이 중심이 된다. 여기서는 그 가운데 첫 번째 단계로 자음과 그 변이음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성과는 인도네시아어와 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한국 학습자들에게도 유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1.2 연구 대상 및 방법

    언어학적 비교의 주된 대상은 음운․문법․의미의 일반언어학적 영역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이 연구에서 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음운 체계에 관한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자음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태국어의 자음 체계에 대한 연구는 각국의 음운론 연구의 초창기 시절부터 주된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많이 있다. 그러나 이들 음소의 체계상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거나, 각각의 음소가 한국어의 그것과 어떻게 대응되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사례를 찾기는 어렵다.

    참고자료

    · 박정숙 외(2006),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모음공간의 지형도』, 한국외대마인어과, 홍익대 영어교육과
    · 박한상(2008),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모음의 길이』, 한국언어학회
    · 범류(2005), 『한국어와 중국어의 닿소리 음소 및 그 변이음에 대한 조음음성학적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숙,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자음 음소 및 변이음의 대조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병도(2010), 『가장 쉬운 태국어 첫걸음』, 동양문고.
    · 이진호(2006),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 이한우(2002), 『태국어 문법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정명숙 외(2000), 『학습자 모국어의 변이음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효과』,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정태현, 박한상.(2004), “인도네시아어 파열음의 발성유형 연구”, 한국외대, 홍익대
    · 정환승(2002), 『태국어 문법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차상호(1998), 『기초 태국어』, 삼지출판부.
    · 한국태국어학회(2005), 『태국어의 이해』, 한국외국어 태학교 출판부.
    · Sanford A. schanethe.(1984), 『fundamental of particle phon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diago.
    · Bobby Ruijgrok.(2008), 『Matters in Indonesian Phonology』, Leiden University
    · Abd.Rohim H.S. Ririk Ratnasari.
    · Siti Yulaika. & Ida Darningsih.(2009), 『Kebahasaan』, Pusat Pengembangan Dan Pemberdayaan Pendidikan Dan Tenaga Kependidikan Bahasa.
    · Ellen Van Zanten & Vincent J. Van Heuven(1984). 『The Indonesian Vowels as Pronounced and perceived by Toba Batak』, Sundanese and Javanese speakers, Bijdragen tot de Taal, Land-en Volkenkude.
    · Dian Nofrina.(2009). Gejala Kelainan Pelafalan Bunyi Segmental Pada Ujaran Seorang Remaja Yang Berkelainan Bicara. Fakultas Ilmu Budaya Universitas Indonesia.
    · กำชัย ทองหล่อ. หลักภาษา. รวมสาส์น, ๒๕๔๗
    · นวรรณ พันธุเมธา. ไวยากรณ์ไทย. รุ่งเรืองสาส์นการพิมพ์, ๒๕๒๕
    · สุธิวงศ์ พงศ์ไพบูลย์. หลักภาษา. ไทยวัฒนพานิชย์, ๒๕๒๓
    · สุนันท์ อัญชลีนุกูล. ระบบคำภาษาไทย. จุฬาลงกรณ์มหาวิทยาลัย, ๒๕๔๗
    · ม.ล. จรัลวิไล จรูญโรจน์. ภาษาศาสตร์เบื้องต้น. มหาวิทยาลัยเกษตรศาสตร์. ๒๕๔๘
    · เรืองเดช ปั่นเขื่อนขัติย์. ภาษาศาสตร์ภาษาไทย. Fast Books, ๒๕๔๑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