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상품기획과 브랜드 전략

상품기획과 브랜드 전략<음성 소리 효과가 알파뉴머릭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2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1.07.25 최종저작일 2011.07
27P 미리보기
상품기획과 브랜드 전략
  • 미리보기

    소개

    상품기획과 브랜드 전략<음성 소리 효과가 알파뉴머릭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품기획과 브랜드 전략 ]
    더 클수록 더 좋아
    : 음성 소리 효과가 알파뉴머릭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The bigger, the better
    : Phonetic Sound Effect on Alphanumeric Brand
    초 록>
    본 연구는 알파뉴머릭 브랜드 네임의 숫자 부분, 그리고 문자 부분의 발음상 소리가 소비자들의 가치인식과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세 개의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1에서는 알파뉴머릭 브랜드 네임에서 숫자 부분이 후설음/폐쇄음의 큰 소리를 포함하면 ‘더 크다’는 음성의 상징효과에 의해 전설음/마찰음을 포함한 숫자로 구성되었을 때보다 제품의 선택률과 가치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 연구에서 증명되었던, 테크니컬 카테고리 내에서 일반적인 ‘더 높을수록 더 좋다’ 휴리스틱에 의해 크게 인식된 숫자가 더 좋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과 반대로 숫자부분을 같게 통제하고 문자 부분의 소리크기가 숫자 부분의 인식과 제품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알파뉴머릭소리인 후설음/폐쇄음을 포함한다면, 작은 소리인 전설음/마찰음를 포함하였을 때보다 숫자 부분을 더 크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가치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3에서는 영어뿐만 아니라 한국말에서의 동일한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 가설의 강력한 효과를 재확인하고 있는데, 이는 각 숫자에 따른 음성(발음)은 언어마다 다르지만 조음방식이 같다면(e.g., 전설음, 후설음, 마찰음, 폐쇄음)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Chiranjeev S. Kohli and Mrugank Thakor (1997), goods: insights from
    ·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 14(3), 206-219
    · Chiranjeev S. Kohl, Katrin R. Harich and Lance Leuthesser (2005), “Creating brand identity: a
    · study of evaluation of new brand nam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8(11),
    · 15061515
    · Christine Tanz (1971), “Sound symbolism in words relating to proximity and distance,”
    · Language and speech, vol. 14(3), 266-276
    · Colin W. Boyd (1985), “Point of View: Alpha-Numeric Brand Names,” Journal of Advertising
    · Research, vol. 25(5), 48-52
    · Dan King and Chris Janisjewski (2011), “Th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the Fluent
    · Processing of Numbe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8, 327-341
    · David A. Aaker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 T free press, 1230 Avenue of the Americas New York, N.Y 10020
    · D.Birch and Marlowe Erickson (1958), “Phonetic symbolism with respect to three dimensions
    · from The semantic differential,”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 58, 291-297
    · Durairaj Maheswaran, Diane M. Mackie and Shelly Chaiken (1992), "Brand Name as a
    · Heuristic Cue: The Effects of Task Importance and Expectancy Confirmation on
    · Consumer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4), 317-336
    · Edward. Sapir (1929), "A Study in Phonetic Symbolism,"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vol. 12(3), 225-239.
    · Eric rkston and Geeta Menon (2004), “A Sound Idea: Phonetic Effects of Brand Names on
    · Consumer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1(1), 4352.
    · Eysenck, Michael W. (1979), “Depth, Evaluation, and Distinctiveness,” ed. Laird S. Cermak
    · and Fergus I. M. Craig, Hillsdale, NJ: Erlbaum, 89123.
    · J. Cleen. Mccracken and M. Carole Macklin (1998), “The Role of Brand Names and Visual
    · Cues in Enhancing Memory for Consumer Packaged Goods,” Marketing Letters, vol. 9(2)
    · 209-226
    · Keith S. Coulter and Robin A. Coulter (2010), “Small Sounds, Big Deals: Phonetic Symbolism
    · Effects in Pric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7(2), 315-328
    · Kelvin Lane Keller (1998)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In Perspectives of
    · Modern Brand Management,” ed. Dr Franz-Rudolf Esch, 989-1010.
    · KIM M. Cardosi (1986), “Some determining factors of the alphanumeric category effect,”
    · Perception Psychophysics, vol. 40(5), 317-330
    · Kunter Gunasti and Willian T. Ross JR. (2010), “How and When Alphanumeric Brand Names
    · affect Consumer Preferen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7(6), 11771192
    · Marie-Pascale Noel (2001), “Numerical Cognition,” in Handbook of Cognitive
    · Neuropsychology: What Deficits Reveal about the Human Mind”, ed. Brenda Rapp, New
    · York: Psychology, 495518.
    · Peter F. Macneilage and Barbara L. Davis (2001), “Motor mechanisms in speech ontogeny:
    · phylogenetic,” neurobiological and linguistic implications ,vol. 11(6), 696-700
    · Reuben M. Baron and Davi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Journal of Pe~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6), 1173-1182
    · Richard R. Klink (2000), “Creating Brand Names With Meaning: The Use of Sound
    · Symbolism,” Marketing Letters vol. 11(1), 5-20
    · Robert B. Smith (1972), “Neighborhood Context and College Plans: An Ordinal Path Analysis,”
    · Social Forces, vol. 51(2), 199-217
    · Robert B. Smith (1978), “Nonparametric Path Analysys: Comments on Kim’s “Multivariate
    · Analysis Of Ordinal Variabl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84(2), 437-448
    · Stanislas Dehaene (1992), “Varieties of numerical abilities,” Cognition, vol. 44(2), 1-42
    · Stanislas Dehaene and Rokny Akhavein (1995), “Attention, Automaticity, and Levels of
    · Representation in Number Process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21(2),
    · 31426
    · Stanley S. Newman (1933), “Further Experiments in Phonetic Symbolism,” American
    · Journal of Psychology, vol. 45(1), 53-75.
    · Swee Hoon Ang (1997),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Alpha-Numeric Brand Names,” Jou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 14(3), 220233.
    · Teresa M. Pavia and Janen Arnold Costa (1993), “The Winning Number: Consumer
    · Perception of Alpha-Numeric Brand Names,” Journal of Marketing vol. 57(3), 85-98
    · Thomas Kramer and Lauren Block (2007), ”Conscious and Nonconscious Components of
    · Superstitious Beliefs i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Jf Consumer Research
    · vol. 34(6), 783-793
    · Tina M. Lowrey, L. J. Shrum, and Tony M. Dubitsky (2003), “The Relation Between Brand
    · Nam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Brand Name Memory," Journal of Advising. vol. 32
    · (3), 7-17
    · Tina M. Lowery L. J. Shrum (2007), “Phonetic Symbolism and Brand Name Preference
    · Some determining factors of the alphanumeric category effect,” Journal of Consumer
    · Research vol. 34, 406-414
    · Tobias Langner, Franz-Rudolf Esch, and John R. Rossiter (2005), “Brand Name Design: A
    · Psycholinguistic Approach To Explain Consumers’ Inference Of Brand Associations
    · From Brand Names, ” ANZMAC 2005 Conference: Advertising/Marketing
    · Communication Issues
    · Wim Fias and H. Fishier (2005), “Spatial representation of numbers,” In: Campbell,
    · J.I.D. (Ed.), Handbook of Mathematical Cognition. Psychology Press, New York, 4354.
    · W. Tecumseh Fitch (1997), “Vocal tract length and formant frequency dispersion correlate
    · with body size in rhesus macaques,”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02(2),
    · 1213-1222
    · Youjae Yi (1990), “The Effects of Contextual Priming in Print Advertisements,” Journal of
    · Advertizing, vol. 19(2), 40-4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