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성,『교육사회학』, 서울: 양서원, 1993.
· 김영모,『사회복지개론』, 법문사, 1973.
· 김준기,『교육과 사회』, 원광대출판국, 1996.
· 김진희외,『학교상담실체 발전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6.
· 김태성성경륭,『빈곤론』, 나남, 1995.
· 이성진,『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1995.
· 이주덕,『신교육학개론』, 교육출판사, 1995.
· 이춘재외,『청년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95.
· 장인협,『사회복지개론』, 서울대출판부, 1991.
· 전재일외,『학교사회사업』,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7.
· 표갑수,『아동청소년복지론』, 충주대출판국, 1995.
· 한인영외,『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7.
· 이경은, (1998), 「학교생활 부적응 유형과 요인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 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이성국, (1996),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 제2권 제4호, 사회복지개발연구원.
· 이성희, (1995), 「자긍심 강화훈련이 국민학생의 긍정적 자기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장인협, (1995), 사회복지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 장인협오정수 (1997), 「아동청소년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전재일 외, (1997), 「학교사회사업」, 대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 (1998), 「학교사회사업」, 대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 전재일, (1998), 「학교사회사업 제도 도입에 따른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개발연구, 제4권 제1호, 사회복지개발연구원.
· 정영숙, (1997), 「아동복지론」, 서울: 양서원
· 한인영 외, (1997), 「학교와 사회복지」, 서울: 학문사.
· 시범학교 연구 보고서-서울 무학여자고등학교(1998. 11. 3)
· W. A. Friedlander & R. Z. Apte,『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rentin-Hall Inc.
· Costin, L.M., (1975),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 New Model,
· Social Work, vol.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