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본래 사교육이란 공교육의 부족한 교과 학습을 보충한다거나 학교에서 배우기 힘든 특별한 재능이나 기술을 익히기 위한 공교육의 보완재 역할이었다. 김동섭,「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공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8쪽
그러나 요즘 사교육현황을 보면 사교육이 공교육의 보완재 역할이라기보다는 공교육이 사교육의 보완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방과 후 학생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원에서 보낸다. 학교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학원에서 미리 공부하여 학교 수업에는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처럼 사교육 시장이 커지면서 공교육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또한, 사교육 혜택을 받기위해 특정 지역으로 이사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교육에 엄청난 비용을 지불한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사교육비 지출이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저소득층 자녀들은 교육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어 주류사회로의 진입이 어려워지게 되기 때문에 양극화는 더욱 더 심화되고, 이는 사회통합을 저해하게 된다는 데 있다. 이처럼 사교육은 단순히 교육적 측면에서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우리 모두 현재의 커다란 사교육 물살이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고, 비판하지만 정작 `나`와 `나의 자녀들`만큼은 그 흐름에서 제외되지 않으려 하는데, 이 현상의 주요한 원인은 대학입시이다. 현재의 사교육 열풍은 대학입시를 위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누리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대학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대학을 나와야만 일을 할 수 있고, 명문대를 나와야만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도 충분한 경제적 보상을 기대할 수가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들이 현재의 사교육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어떠한 구조적 원인이 지금과 같은 엄청난 사교육 시장을 키웠고 이 사교육 열풍이 어떠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지 중등교육의 사교육 현황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 강상석, 「대학서열체제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강준만, 『입시전쟁 잔혹사』,인물과 사상사, 2009
· 고정옥, 「사교육비 지출에 따른 가계의 경제적 부담감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교육통계연보」,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 개선 방안 발표」, 2010
· 교육인적자원부, 「학벌주의 극복 종합대책 추진 실적」, 2007
· 김동섭,「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공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영성, 「공교육의 위기와 공·사교육 간의 파트너쉽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점옥,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2008
· 김진영,「대학의 서열구조 변화와 과외」, 한국개발연구원, 2004
· 김태종, 「학교의 질, 학업성취도, 과외수요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04
· 김 호,『경후의 담대한 꿈』, 지상사, 2009
· 마틴메이어, 조재현 옮김, 『교육전쟁』, 글로세움, 2009
· 양정호,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 추세에 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6, page 199~219
· 연민영, 「사교육비 지출 실태에 관한 연구 : 과외비에 대한 상황분석과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우천식, 「사교육의 효과, 수요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
· 이명선,「보충과정을 세분화한 사회과 수준별 수업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 범, 『학원 발가벗기기』, 와이즈멘토, 2007
· 이병훈, 『학습 매니지먼트 공부 잘하고 싶으면 학원부터 그만둬라』, 한스미디어, 2005
· 이보미,「학벌주의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도 조사 연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이성현, 「한국사회 사교육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이태호, 「공교육과 사교육의 비교 연구 : 공교육이 나아갈 방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제민지, 「사교육 선호 경향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한국교육개발원, 「사교육비 경감 방안」,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