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기본자료
· 강대기, 『현대도시론』, 민음사, 1987.
· 강운석,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0.
·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4.
· 김윤식, 「고현학의 방법론」, 민음사, 1989.
· 문흥술, 『한국 모더니즘 소설』, 청동거울, 2003.
· 방민호, 『구보씨의 얼굴』, 북폴리오, 2004.
· 서준섭, 「한국모더니즘문학연구」, 일지사, 1998.
· 이강언, 『1930년대 한국소설의 방향』, 홍익출판사, 2003.
· 이선영, 『한국 근대문학비평사연구』, 세계, 1992.
· 이재선, 『현대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2.
· 정현숙, 『박태원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3.
· 차혜영, 『1930년대 한국문학의 모더니즘과 전통 연구』, 깊은샘, 2004.
· Eugene Lunn, 김병익 역, 『마르크시즘과 모더니즘』, 문학과 지성사, 2000.
· Peter Faulkner, 황동규 역, 『모던이즘』,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 Ⅱ. 국내논저
· 김명인, 「근대소설과 도시성의 문제」,『민족문학사연구 16』, 민족문학사연구소, 2000.
· 김시태, 「모더니즘소설의 한국적양상」, 『한국언어문화 제 20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1.
· 박장례, 「1930년대 도시소설의 근대성」, 『한국언어문학 45』, 2000.
· 박효영, 「모더니즘」, 윤채한 편, 『신 문예사조사』, 우리문학사, 1994.
· 서은주, 「고독을 통한 행복에의 열망 - 소설가 주인공 소설을 대상으로」, 강진호, 『박태원 소설연구』, 깊은샘, 1995.
· 서준섭, 「구인회와 모더니즘」, 이선영 편, 『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한길사, 1990.
· 이강언, 「박태원 소설의 도시와 도시 인식」,『우리말글 권 24호』, 우리말글학회, 2002.
· 이강언,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형성과 그 배경」,『우리말글 8』, 우리말글학회, 1990.
· 이선미, 「‘소설가’의 고독과 억압된 욕망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론」, 강진호, 『박태원 소설연구』, 깊은샘, 1995.
· 이평전, 「근대 도시의 일상 탐색과 병리성의 기원 연구-박태원 소설을 중심으로-」,『어문학 제 99집』, 한국어문학회, 2008.
· 정현숙, 「1930년대 도시 공간과 박태원 소설」, 『현대소설연구』, 2006.
· 최혜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산책자(flaneur)`연구 -모더니즘 소설의 전형에 대한 일고찰-」『朴泰遠』, 새미, 1995.
· Ⅲ. 참고논문
· 김재두, 「박태원의 지식인 소설에 나타난 배회 모티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5.
· 정혜경, 「박태원 소설의 영화적 기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 지세정, 「박태원 소설의 일상성 서술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