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서동요 - 신라시대의 향가,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분석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03.29 최종저작일 2011.03
9P 미리보기
  서동요 - 신라시대의 향가,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분석
  • 미리보기

    소개

    서동요 - 신라시대의 향가,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분석

    목차

    Ⅰ. 서동요 - 신라시대의 향가
    1. 서동요의 원문과 해독
    1) 薯童謠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서동요의 배경 설화

    Ⅱ.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2. 풍요의 작품이해

    Ⅲ.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혜성가의 원문
    2. 혜성가의 작품이해

    Ⅳ.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Ⅴ.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찬기파랑가의 배경 설화

    Ⅵ.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백제 제 30대 무왕의 어머니는 홀몸이 되어 서울 남쪽 못 가에 집을 짓고 살다가 그 못의 용과 통하여 낳은 아들이 바로 무왕인데, 어렸을 때의 이름은 서동(薯童)이었다. 기량이 측량키 어렵고, 늘 감자를 캐어 팔아서 가계를 삼았으므로, 사람들이 서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신라 진평왕의 제 삼 공주인 선화가 재색이 무쌍하다는 소문을 그가 듣고, 머리를 깎고 신라 서울로 와서 아이들에게 감자를 주어 어울리면서 낮이 익어진 뒤에는 스스로 노래를 지어 아이들에게 가르쳐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삽시간에 서울에 펴져서 대궐에까지 들어갔다. 대신들은 왕께 극히 간하여 공주를 멀리 정배 보내기로 하였다. 공주가 귀양살이로 떠나려 할 때 왕후는 순금 한말을 주어 보냈다 한다. 공주가 배소로 가다 도중에 서동이 나와 절하고 侍衛하여 가니까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 사람인지는 모르나, 흡족히 여겨서 그냥 두었다. 이리하여 함께 가는 도중에, 드디어 소동의 소원이 성취되었는데, 공주는 서동의 이름을 듣고 “동요가 맞았다” 하였다 한다.

    武王(古本作武康.非也.百濟無武康)
    第三十,武王名璋.母寡居.築室於京師南池邊.池龍交通而生.小名薯童.器量難測.常掘薯蕷.賣爲活業.國人因以爲名.聞新羅眞平王第三公主善花(一作善化).美艶無雙.剃髮來京師.以薯蕷餉閭里羣童.羣童親附之.乃作謠.誘群童而唱之云.善化公主主隱他密只嫁良置古薯童房乙夜矣卯乙抱遣去如.東謠滿京.達於宮禁.百官極諫.竄流公主於遠方.將行.王后以純金一斗贈行.公主將至竄所.薯童出拜途中.將欲侍衛而行.公主雖不識其從來.偶爾信悅.因此隨行.潛通焉.然後知薯童名.乃信童謠之驗.同至百濟.出母后所贈金.將謀計活.薯童大笑曰.此何物也.主曰.此是黃金.可致百年之富.薯童曰.吾自小掘薯之地.委積如泥土.主聞大驚曰.此是天下至寶.君今知金之所在.則此寶輸送父母宮殿何如.薯童曰可.於是聚金.積如丘陵.詣龍華山師子寺知命法師所.問輸金之計.師曰.吾以神力可輸.將金來矣.主作書,幷金置於師子前.師以神力.一夜輸置新羅宮中.

    참고자료

    · 박노준 :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 신재홍 :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2
    · 이종춘 : 서동요의 새로운 이해, 한국언어문학 제22집, 한국언어문학회
    · 윤영옥 :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1998
    · 정경섭 :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2003
    · 정병욱 :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0
    · 황패강·윤원식 : 한국고대가요, 새문사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