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경상도와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4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02.24 최종저작일 2011.02
43P 미리보기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경상도와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 미리보기

    소개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경상도와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분석

    목차

    Ⅰ. 제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소그멍말멍했수다
    2. 봉강오쿠다
    3. 대껴부런
    4. 자파리
    5. 화룩친다
    6. 내불라
    7. 와리지 말라
    8. 경 골라
    9. 도르멍
    10. 괴우랑
    11. 수고합서게
    12. 봅데강
    13. 놉뜨지 맙써
    14. 무사마씸
    15. 고무꾸다
    16. 영 헙써
    17. 창원한
    18. 우뚝지
    19. 이리옵서게
    20. 이리오라게
    21. 고라불라
    22. 도맹생이
    23. 아수까
    24. 박세기
    25. 산도록호다
    26. 촘지금
    27. 제배낭
    28. 듯듯하다
    29. 미깡
    30. 배채우다
    31. 강돌아라
    32. 산승
    33. 가메기통
    34. 천아반
    35. 도깽이주제
    36. 밉성글르다
    37. 머정떨어진다
    38. 먹구정
    39. 노녀와치
    40. 말모래기
    41. 맥주풍언
    42. 고라불라
    43. 대끼라
    44. 봉그라
    45. 폿자리
    46. 도맹생이
    47. 구둠

    Ⅱ.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Ⅲ. 강원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등거지
    2. 나대다
    3. 나끈쟁이
    4. 올갱이국수
    5. 굴루다
    6. 도장
    7. 뚜꾸
    8. 보애비
    9. 베리
    10. 지대로
    11. 고녜이
    12. 벅강지
    13. 사그래나무
    14. 밥자리
    15. 뚜덕여
    16. 채신이없이
    17. 파
    18. 대꾸
    19. 활극
    20. 성례
    21. 짜장
    22. 애최
    23. 툽툽하게
    24. 울화
    25. 헐없이
    26. 골김에
    27. 사경
    28. 먹초
    29. 앵경
    30. 쌔래붓다
    31. 씨겁하다
    32. 달부
    33. 옥시끼
    34. 괴기
    35. 개비
    36. 여깽이
    37. 동갑살이
    38. 난저라
    39. 깔뚝국시
    40. 꺼주하다

    Ⅳ.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꼼꼼쟁이
    2. 하겠슈
    3. 버품
    4. 바라구
    5. 하시유
    6. 벼륵
    7. 찬차니
    8. 겨 아녀?
    9. 보라니깨
    10. 한하고
    11. 나슨개
    12. 물심
    13. 벼람박
    14. 에피리똥
    15. 버무땅채비
    16. 벌레지
    17. 버히다
    18. 따쩌구리
    19. 부치기
    20. 농오리
    21. 사작다리
    22. 괴리때
    23. 까시낭구
    24. 단도렁
    25. 지렁물
    26. 씨가시
    27. 불거워
    28. 때똑하다
    29. 간조로니
    30. 껍데
    31. 흐찔하다
    32. 미꼬래미
    33. 불무쟁이
    34. 귀뚜라기
    35. 싹수리
    36. 더릅다
    37. 머스매
    38. 앙가심
    39. 부초
    40. 매야리
    41. 달릅다
    42. 헌대까지
    43. 젓내기술
    44. 야틉다
    45. 기럭지
    46. 한고등
    47. 졸
    48. 조래미
    49. 어쩔껴

    Ⅴ. 경상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꼬닥가리
    2. 미리미
    3. 내미
    4. 비묵다
    5. 쪼깨
    6. 뚱치다
    7. 보리문디
    8. 안개똥
    9. 매끼
    10. 사캈다
    11. 쌔리빗다
    12. 송신
    13. 쨉이안된다
    14. 가시
    15. 누지르다
    16. 까디비다
    17. 골개
    18. 쑤씨범벅
    19. 인지
    20. 보탄
    21. 아지랍다
    22. 앗아주다
    23. 고나다
    24. 깨배다
    25. 시시하면
    26. 쑥쑥다
    27. 식겁
    28. 매착없다
    29. 꺼자다
    30. 또빨
    31. 새옻
    32. 깨방
    33. 쳐자내다

    Ⅵ.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흡진구
    2. 놀기다
    3. 부처리
    4. 쭈깨미
    5. 유싱개
    6. 양씬
    7. 애옥질
    8. 카능교
    9. 지네지름
    10. 간재미
    11. 끔
    12. 손끔봤다
    13. 염사없다
    14. 석짝
    15. 떠랭이
    16. 단박질
    17. 장동감
    18. 호숩다
    19. 폭폭증주다
    20. 황시리젓
    21. 건불
    22. 쌔리뿐다
    23. 히놀놀허다
    24. 타시락거리다
    25. 찌개미
    26. 뽑개
    27. 헹펜
    28. 깨끔하다
    29. 헐라등가
    30. 궁짜
    31. 고라탕
    32. 난장맞을
    33. 맹글어뿔다
    34. 암스롱도
    35. 영축없다
    36. 본새
    37. 하먼
    38. 썬득하다
    39. 응등하다
    40. 게쭉발
    41. 암작에도
    42. 어기쓰다
    43. 돈뱅이
    44. 한부짝
    45. 세경
    46. 의스륵하다
    47. 보두
    48. 박구리

    Ⅶ.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동사 부류
    2. 형용사 부류

    Ⅷ.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제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소그멍말멍했수다

    소그멍말멍했수다는 `천만에요`라는 제주도 사투리이다.
    예문 : 아이고, 어멍! 속았수다~(아이고, 어머니 수고하셨어요) 소그멍말멍했수다

    2. 봉강오쿠다

    찾아오겠다
    예문 : 알아수다 강 봉강오쿠다(알았다 가서 찾아오겠다)

    3. 대껴부런

    던저 버렸어
    예문 : 가가 내 책 대껴부런

    4. 자파리

    여러 가지 물건들을 아주 심하게 어지럽히면서 노는 모양을 이르는 말.
    예문 : 저 아이들 자파리가 보통이 아니구나게.. 저 아이들 어지럽히면서 노는 모양이 보통이 아니로구나.

    5. 화룩친다

    정신없이 이리저리 부산하게 움직이는 경우
    예문 : (예문) 원, 아이도 너무 화륵(룩)쳠져. 너무 놉디당 다친다. (풀이) 원, 아이도 너무 흥분한다(즉, 정신없이 이리저리 분주하게 움직임). 너무 까불다 다친다

    6. 내불라

    제주도 사투리로 `내버려 두라`, `상관하지 말라`는 뜻의 말이다.
    예문 : 예문 동진이 그 녀석이 하는 대로 제발 내불라.

    7. 와리지 말라

    제주도 사투리로 [서두르지 말라]는 뜻의 말이다.
    예문 : 예문 얘들아, 제발 와리지 말라. 아직 2시간이나 충분히 남았다.

    8. 경 골라

    제주도 사투리로 [그렇게 말해라]라는 말이다.
    예문 : 동현이네 집에 가서 한번 경 골라.

    9. 도르멍

    `도르멍`은 `달린다` 이다.
    제주어로 도르멍이라고 하고 뜻이 달린다예요~
    예문 : 친구영 도르멍 놀았다

    10. 괴우랑

    사랑이라는 단어의 제주도 방언.
    예문 : 괴우랑걸커들랑 발 멀리 걸라.. 지드리멍 보내멍 살게. (풀이) 사랑을 하려거든 멀리 떨어져보자. 기다리며 보내면서 살아도보게

    11. 수고합서게

    수고하세요, 수고하십시요라는 뜻
    예문 : 아저씨 수고합서게

    이하생략

    참고자료

    · * 김영만(1974), 국어 운율의 본질과 변천-함경·경상·전라·서울의 악센트와 중세국어의 성조의 비교적 관찰-, 국어국문학
    · * 김영배(1981),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논문집
    · * 김완진(1975), 전라도방언 음운론의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하여, 어학 2, 전북대
    · * 정승철(1995), 제주도방언의 통시 음운론, 태학사
    · * 최명옥(1994),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 * 황인권(1999), 한국방언연구(충남편), 국학자료원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