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행본 >
· -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 김명인,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주례사 비평을 넘어서』,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2.
· - 신경숙, 『기차는 7시에 떠나네』, 문학과지성사, 1999.
· - 신경숙, 『깊은슬픔』, 문학동네, 1994.
· - 신경숙, 『바이올렛』, 문학동네, 2001.
· - 신경숙, 『아름다운 그늘』, 문학동네, 1995.
· -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창작과비평사, 2008.
· - 신경숙, 『외딴방』, 문학동네, 1995.
· - 신경숙 외, 『그는 언제 오는가 – 1997 동인문학상 수상작품집』, 조선일보사, 1997.
· < 논문 >
· - 김영찬, 「글쓰기와 타자: 신경숙의 외딴 방 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15집, 2002.
· - 김우선, 「198~90년대 노동소설의 두 유형에 대한 비교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 김종태, 「시교육과 역사주의비평의 문제」, 한국문예비평연구, 2008.
· - 박청호,「욕망의 서사 연구: 김승옥, 신경숙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8.
· - 박현이, 「하위주체 여성 -노동자와 탈식민성」, 『경계와 소통, 탈식민의 문학』, 역락, 2006.
· - 유제숙, 「신경숙 소설의 자기 고백적 특성에 관한 고찰」, 충남대 교육대학원, 2005.
· - 이미영, 「유물론적 역사주의 비평의 한계」, 안과밖(영미문학연구), 1996.
· - 이상경, 「말해질 수 없는 것들 을 넘어서」, 『소설과 사상-1997 봄호』, 1997.
· - 이정희, 「빈집으로 가는 먼 길: 신경숙론」, 경희어문학 제21집, 2002.
· - 이주미,「자발성을 통해 본 신경숙 소설의 주인공 성격 연구 -『외딴방』을 중심으로」,『한국문예비평연구』겨울호, 2009.
· - 정은숙, 「신경숙 장편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계명대학교, 2010.
· - 최강민, 「억압된 금기적 욕망과 쌍생아적 상상력 –신경숙론-」, 중앙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2.
· - 최수영, 「노동문학에서 여성노동문제의 반영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 하정일,「개인과 가족의 기묘한 동거 : 신경숙론」,『실천문학』겨울호, 2004.
· - 한재환, 「새로운 비평적 실천으로서의 신역사주의」, 『오늘의 문예비평』, 해성, 1992.
· < 기사 >
· - 오길영, 「비평가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면…`신경숙을 부탁해!‘」, 프레시안, 2010-10-15.
· - 우철훈, 「‘외딴방’에 들어가 나를 보았다.」 경향신문, 1995-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