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보건복지위원회(2004),『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 국회운영위원회.
· 김신구(2005),『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목원대 산업정보대학원.
· 김연옥(2004),『재혼가정의 가족기능향상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사회복 지학 제56권 제2호, 한국사회복지학회.
· 김영신(2009),『재혼가족의 청소년이 지각한 친부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새부모와의 관 계에 미치는 영향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 김영애(2006),『가족치료 현장으로의 초대』, 시그마프레스.
· 김유경(2005),『가족원 특성에 따른 다양한 가족의 실태와 사회적 지원체계』,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 김정진(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서현사.
· 김종숙(1994),『재혼가족관계』, 한국문화사.
· 김지영(2008),『재혼가족 기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지지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사티어 성장 모델을 중심으로』, 서울신학대 사회복지대학원.
· 김효순(2005),『재혼가족의 적응에 관한 문헌고찰 : Bronfenbrenner의 모형을 중심으로』, 가족과문화 제17집 1호, 한국가족학회.
· 김효순 외(2006),『재혼가족의 가족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역할긴장 변 수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가족과 문화 제18집 4호, 한국가족학회.
· 남국희(2006),『재혼가족의 갈등해결을 위한 목회상담적 고찰 : V.Satir 의사소통이론을 중 심으로』, 나사렛대 신학대학원.
· 마채린(2003),『재혼가족의 의식 및 목회상담적 지원에 관한 연구』, 연세대 연합신학대학 원.
· 문혜심(2006),『재혼가족내 초혼계모에 대한 성경적 상담학적 접근 :갈등과 갈등해소를 통 한 적응을 중심으로』, 총신대 상담대학원.
· 박문희(2002),『이혼과 재혼에 관한 목회상담적 고찰』, 이화여대 신학대학원.
· 박은주(2004),『재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창수(2006),『브라보! 리치 라이프』, 전나무숲.
· 송성자(2004),『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 송정아 외(2008),『가족생활교육론』, 교문사.
· 신남희(2009),『복합가정에서의 의사소통 문제와 성경적 상담』, 총신대 상담대학원.
· 안상훈(2007),『미래 한국의 경제사회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 안진환(2007),『호되게 꾸짖고 넘치게 사랑하라』, 시공사.
· 안혜연(1999),『계부모가족 상담을 위한 연구 - 계부모 가족의 갈등을 중심으로』, 총신대 석사학위논문.
· 오진미 외(2007),『부부·가족 상담의 4단계모델』, 시그마프레스.
· 유제민(2004),『아동과 청소년의 발달정신 병리학』, 시그마프레스.
· 윤주애(2002),『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수정 외(2009),『재혼연구 동향분석 : 1996년∼2007년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4호, 한국가족복지학회.
· 이영숙 외(2008),『가족문제와 복지』, 신정출판사.
· 이정연(2009),『부부상담과 치료』, 시그마프레스.
· 이현숙(2010),『한국 가족의 변화에 따른 부모역할에 대한 성경적 접근』, 배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춘희(2006),『재혼가정 청소년의 적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가족 관계 인식과 교육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 전영주(2004),『재혼가족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신라대학교論文集 제54집, 신라대학교.
· 정옥분(2005),『결혼과 가족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 정종진(2006),『학부모가 알아야 할 자녀문제 15가지』, 시그마프레스.
· 정현숙 외(2000),『재혼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8호, 대한가정 학회.
· 조아랑 외(2003),『재혼가정치료』, 도서출판 빈센트.
· 조정문(2001),『가족사회학』, 아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