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가기준점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0.12.26
- 최종 저작일
- 2009.06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사회과학 계열 내의 지리학 분야.
우리나라에서 설정한 10가지 정도의 국가기준점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정리해놓은 자료입니다. (사진자료, 지도 포함)
목차
• 국가기준점의 종류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 국가기준점
1. 경위도원점 (=측지원점)
2. 수준원점
3. 절대중력원점
4. 중력기준점
5. 중력보조기준점
6. 삼각점
7. 수준점
8. 자기점 (=지자기점)
9. 통합기준점
10. GPS 기준점
※ VLBI 관측점
+ 위 국가기준점에 대한 사진 자료와 지도 포함
본문내용
• 국가기준점의 종류
경위도원점, 수준원점, 절대중력원점, 중력기준점, 중력보조기준점,
삼각점(1등, 2등, 3등, 4등), 수준점(1등, 2등), 자기점(1등, 2등)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어떤 일을 하는 기관인가?
국토측량, 항공사진 촬영, 국가기본도, 수치지도의 제작을 비롯해 국토지리, 지형 등의 다양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의 기술에 관한 연구 등의 활동을 하며 GPS상시관측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국내의 모든 측량성과와 지도는 이곳에서 제공하는 국가기준점 및 기본도를 기초로 하고 있다.
• 국가기준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설치한 측량 표지로써 위치와 표고 등을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점으로 좁게는 삼각점, 수준점을 말하며, 넓게는 중력점과 지자기점 등을 포함한다.
1. 경위도원점
한 나라의 모든 위치의 기준으로 측량의 출발점이 되는 점.
즉, 우리나라 측량 기준점인 삼각점의 출발점.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에 있다.
[ 중 략 ]
※ VLBI 관측점
VLBI측량은 지구로부터 수 억 광년 떨어진 우주로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VLBI 관측 시설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두 곳 이상에서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이들 간의 좌표와 거리 등을 수mm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는 최신 우주 측지기술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