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문 내용
小國寡民, 使有什佰之器而不用, 使民重死而不遠徙. 雖有舟輿, 無所乘之; 雖有甲兵, 無所陳之; (작을 소,나라 국, 적을 과, 백성 민, 하여금 사, 있을 유, 열 사람 십, 일백 백, ~의 지, 그릇 기, 말이을 이, 아니 불, 쓸 용, 하여금 사, 백성 민, 무거울 중, 죽음 사, 말이을 이, 아니 불, 멀 요, 이사가다 사, 비록 수, 있을 유, 배 주, 수레 여, 없을 무, 바 소, 탈 승, 그것 지, 비록 수, 있을 유, 갑옷 갑, 병기 병, 없을 무, 바 소, 늘어놓다 진, 그것 지)
나라는 작고 백성은 적도다. 설사 열 사람, 백 사람이 같이 써야 하는 대형 기물이 있을지라도 사용하지 아니하고, 백성으로 하여금 죽음을 중시하여 멀리 이사 다니지 않게 한다. 비록 배와 수레가 있으나 그것을 탈 일이 없게 하고, 비록 갑옷과 병장기가 있을지라도 그것을 진열할 일이 없게 하니,
使人復結繩而用之.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隣國相望, 鷄犬之聲相聞, 民至老死不相往來. (하여금 사, 사람 인, 다시 부, 맺을 결, 노끈 승, 말이을 이, 쓸 용, 그것 지, 달 감, 그 기, 먹을 식, 아름다울 미, 그 기, 옷 복, 편안할 안, 그 기, 살 거, 즐길 락, 그 기, 풍속 속, 이웃 린, 나라 국, 서로 상, 바랄 망, 닭 계, 개 견, 어조사 지, 소리 성, 서로 상, 들을 문, 백성 민, 이를 지, 늙을 로, 죽을 사, 아니 불, 서로 상, 갈 왕, 올 래)
사람들로 하여금 결승문자를 회복하여 살게 하여, 채식을 달게 먹고, 거친 옷을 아름답게 여기며 입고, 검소한 집을 편안하게 여기며, 그의 질박한 풍속을 즐기며, 이웃나라가 서로 바라보이고 닭과 개의 소리가 서로 들리되 사람들이 늙어 죽도록 서로 왕래하지 않는다.
2. 요약
나라와 백성은 적다. 여러 사람이 사용해야 할 대형 사물이 있어도 사용하지 않고, 누군가를 죽여서 도망 다니는 것을 바람직하게 여기지 않는다. 배와 수레, 갑옷과 병장기와 같은 침략의 도구를 사용할 일이 없으며, 유가의 言과는 다른 결승문자, 문자가 없던 시대에 매듭을 지어 일을 기록 이강수, 『노자』, 길, 2007, p.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