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 자료, 1988년부터 2006까지 대한민국 GDP 변화 추이
· 신유근(2007), KRP 경영론, 다산출판사
· 동아일보, 2008.11.22 [‘空테크’보면 경영철학 보인다]
· 동아비즈니스리뷰 53호, [기업목적은 ‘이익극대화’아닌 ‘고객만족’]
· 신유근(2006),[경영학원론], 다산출판사
· 피터드러커, 『21세기 지식 경영(지식근로자의 자기개발법)』, 한국경제신문사, 2002
· 한국경제 한정희 칼럼 “김우중 회장의 세계경영 요체는 인재관리”를 참조
· (http://w.hankyung.com/board/view.php?id=_column_277_1&no=8)
· <경제용어사전>, 네이버
· 이희석·양성병·최수영, <KMS의 발전과 최근 동향>; ≪정보처리학회지 제 14권 5호≫, 2007.09
· 박봉권·신헌철·차윤탁, <지식기업 현장을 가다, 삼성전자>, ≪매일경제≫, 2010.04.19
· 조성훈, <KT ‘지식경영’ 혁신기업으로>, ≪디지털타임즈≫, 2006.08.31
· 성현희, <Casestudy-인천국제공항공사 지식 콘텐츠 DB시스템>, ≪CIOBIZ+≫, 2009.08
· 박봉권·신헌철·차윤탁, <지식기업 현장을 가다, 현대건설>, ≪매일경제≫, 2010.05.25
· 김병도.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 서울: 21세기북스, 2004.
· COLLIS, D & C MONTGOMERY, Competing on Resources: Strategy in the 1990s,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1994), pp. 118-128.
· Gary Hamel & C.K. Prahalad, Competing for the Future ,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4) 참조.
· Tom DeMarco, 『Slack-변화와 재창조를 이끄는 힘-』, 인사이트 , 2010,
· ‘무모한 企業集中, 副作用 속출’, 매일경제, 1979.04.06 기사 참조.
· 유병필, ‘기업집중 이대로 좋은가 무모한 확장’, 매일경제, 1979.04.07 기사 참조..
· ‘5大그룹 企業, 負債비율 上場社 평균 훨씬 앞질러’, 매일경제, 1988.04.15 기사.
· ‘(주)農心 李相 대표이사, 신제품 개발로 승부 … 복지 역점’, 매일경제, 1994.03.04 기사 참조.
· 강반구, ‘주요그룹 「R&D 委」 구성활발’, 매일경제, 1994.06.24 기사 참조.
· 상장社 R&D비용 上半期 중 35% 늘어 大宇경제硏 조사’, 매일경제, 1994.08.24 기사 참조.
· ‘기업 海外投資 활발’, 매일경제, 1986.10.13 기사 참조.
· 강인수, 김주헌, 이영섭, 이재우, 최종우, 연구논문: 한국기업 해외직접투자의 특성, (한국응용경제학회, 1999),
· 스피드 경영의 업그레이드 방안, LG Business Insight 1020호, 2008.
· 채명석, ‘포스코 ‘모바일 오피스’ 스피드경영 박차‘, 아시아경제, 2010.03.09 기사 참조.
· 사설, ‘LG전자 ’스피드 경영’에 주목한다‘, EtnEws, 2010.05.12 참조.
· 이종태, ‘굶주린 늑대’에서 ‘배부른 돼지’로 변모한 대기업‘, 시사IN Live, 2010.04.26 기사 참조.
· 신유근. 『한국 장수기업의 성공사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b.
· 김영희, ‘재벌 ‘문어발 경영’ 폐해 잊었나‘, 한겨레, 2008.01.06 기사 참조
· 김창근,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자본주의 축적전략의 변화과정에 대한 진단,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7
· 사설, ‘대기업 문어발식 확장 되살아나나’,연합뉴스, 2010.04.01
· 구은희 외 2인, 대기업 문어발식 확장 되살아나나, 민중의 소리, 2010.01.20
· 사설, ‘대우건설과 금호, 파멸로 치달은 동거’, 프레시안, 2009.11.24
· 정권택, 성과주의 인사의 명암과 제언, 삼성경제연구소, 2002
· 맥킨지, The War for Talents, 2001.
· 허재경, ‘스피드 경영으로 추격, 시장이 通했다.’,한국일보, 2007.09.03
· 김옥남, 야근 없는 직장 만들기, LG경제연구원, 2008.
· Doz, Yves 외 1인, 신속 전략 게임. 이건 역. 2008.
· 21C 정보지식센터, 일본 후지쯔 성과주의의 문제점」,지식정보플러스, 2006.08.01.
· 강현석, “사례연구 : 포항제철의 팀제”, 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연구, 1995
· 김용열, “민영화 이전 포항제철의 지배구조와 경영효율성”, 한국경영사학회, 2005
· 임일섭, “사례연구 : 포항제철의 성과배분제도”, 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연구, 1993
· 배규식, “한국의 작업장 혁신 실태와 정책과제”, 작업장 혁신과 노사관계 발전 방향에 관한 정책 토론회, 한국 노동연구원, 한국 노사관계 학회. 2003. pp48~51
· 장동윤, “갈등관리 유형으로 본 한국 노사관계의 발전과정”, 한국경영사학회, 2004. 06. 30
· 조준모, “한국의 집단적 노사관계 위기와 제도개선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2006년
· 김성수,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경영사례시리즈 2, 서울: 우듬지, 2008.
· 투명경영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대한항공 사내 홍보물, 삼성경제연구소 DB게재
· ENB산업뉴스, 2010년 2월 9일자
· 경향신문, 2008년 4월 17일자
· 세계일보, 2009년 05월 08일자
· 디지털 타임즈, 2009년 5월 19일자, 장 마리 위르띠제 르노삼성자동차 사장 임직원과 소통 `현장경영`
· 한겨레, 2008년 6월 25일자
· 내일 신문, 2007년 7월 2일자
· L. Smircich,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8(September, 1983)
· Edgar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A Dynamic View (New York: Jossey-Bass, Publishers, 1985)
· 이학종, 『한국기업의 문화적 특성과 새 기업문화 개발』, 박영사, 2005
· 김수호,「스피드경영+팀워크=역동적 기업문화」,『이코노믹 리뷰』5-10호, 2005.
· 고승희,「LG정신과 기업문화」,『경영사학』 15-1호 (한국경영사학회, 2000)
· 김우현, 『한국 기업문화의 전개에 관한 연구』, 일신각, 2003
· 조영호 외, 「한국 대기업 기업문화의 10년간 변화: 사회변동 효과와 문화적 안정성」, 제9회 경영관련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 자료 (한국인사조직학회, 2007).
· 조현일, 「SK텔레콤 `혁신경영`으로 위기 넘는다」, 『세계일보』, 2008.12.15.
· 김윤현, 「상하가 따로 있나 호칭 파괴 바람」, 『주간한국』, 2006.01.11.
· 김용준, 「삼성, 21C 키워드는 창의·선견·유연…性善說로 조직관리」, 『한국경제』, 2010.03.2
· P. F. Drucker, Management (Herper ․& Row, 1973)
· 유필화․ 신재준, 『기업문화가 회사를 말한다』, 한언, 2002,
· 홍민기, 「자율속 톡톡, 튀는 아이디어 쑥쑥」, 『샌프란시스코 중앙일보』
· 이원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서 조절변수의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학위논문, 2009년
· 김영학, “한국 CEO 리더십이 진화하고 있다”, 엑설런스 코리아, 학술논문, 2008년
· 최윤정, “변혁적 리더쉽과 팀임파워먼트가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학위논문, 2004
· 이춘근, “불황 극복의 비결, 리더십”, 「LG 주간경제」, 2001. 1. 17
· 조성기(2005). <유일한 평전>. 작은씨앗.
· 박영배 이의춘 외(1994). <기업을 만든 사람들>. 미래사.
· 박정웅(2007). <정주영-이봐 해봤어?>. FKI미디어.
· 박상하(2009). <이기는 정주영, 지지 않는 이병철>. 무한.
· 최홍섭(2005). `김쌍수, LG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 공격 행동 중시하는 헝그리맨 리더십`. 주간조선 통권1842호.
· 한국일보. `세계를 놀라게 한 UAE원전 수주`. 2010.06.08
· 이상철(2007). <2007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 수상기록집-밥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혀라>. 월간조선
· 홍하상(2007). <CEO 윤종용>. 위즈덤하우스
· 윤종용(2005). <초일류로 가는 생각>. 사내용(비매품).
· 한국경제신문. 1997.02.10
· 이상철(2007). <2007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 수상기록집-밥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혀라>. 월간조선
· 최홍섭(2005). `김쌍수, LG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 공격 행동 중시하는 헝그리맨 리더십`. 주간조선 통권1842호.
· 브레이크뉴스. `추락하는 LG전자 김쌍수호 브레이크 밟은 속도경영… 결국 전복하나?`. 2006.06.18.
· Café.naver.com/lovelylife1, “이석채 KT사장의 경영방침은?” 부분인용
· Blog.naver.com/leekyo7, “휠라 윤윤수 회장” 부분인용
· 박병영. 산업부문 정부-기업 관계 유형과 그 결정 요인 : 분석틀의 모색, 사회발전연구. 『사회발전연구』. 8. (2002).
· 이준구, 경제학 원론, 법문사, 2000
· 박병영, 한국 정부-기업 관계의 다양성과 그 결정요인, 연세대 대학원, 1999
· 조성택, “경제위기와 정부-기업관계의 변화”, 2008, 한국행정사학지, P.14~20
· 최종원, 한국의 정부-기업관계 진화과정 분석, 행정논총 37, 1999
· 하태수, 세계화, 외환위기 그리고 정부-기업관계에 대한 재고, 한국행정논집, 2002
· 이종원, 운신 폭 좁은 신정부의 경제정책, LG 주간경제, 1998. 1. 7
· 홍성빈, 성장 친화적 규제 개혁을 위한 조건, LG 경제 연구원, 2008.2.27
· 신유근, 융합형 경영방식 모범사례, 2010.
· 김희천, 정부의 시장개척자금 지원정책의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확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 미국무역개발청, http://www.ustda.gov/
·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0501&docId=490180&qb=7IKs7JeF67O06rWt&enc=utf8§ion=kin&rank=4&sort=0&spq=0&pid=gt5ODg331xRssuf871Rssv--346369&sid=TBJazXJPEkwAAHimFUU,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www.hyundaigroup.com/,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www.posco.co.kr/homepage/docs/kor2/html/company/posco/s91a1000011c.jsp,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cafe.naver.com/dongwonmil/26,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blog.naver.com/hulrudung?Redirect=Log&logNo=140104516137,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blog.naver.com/longmancho/80105464712,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cafe.naver.com/csrkorea/3514, 2010년 6월 3일 검색
· http://cafe.naver.com/cobics/476, 2010년 6월 1일 검색
· http://blog.naver.com/spiner/110077685547, 2010년 6월 3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