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대공황의 원인 - 프리드먼과 케인즈

프리드먼과 케인즈의 대공황 이론에 대한 분석 비교 고찰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12.03 최종저작일 2010.12
11P 미리보기
대공황의 원인 - 프리드먼과 케인즈
  • 미리보기

    소개

    프리드먼과 케인즈의 대공황 이론에 대한 분석 비교 고찰

    목차

    I. 서론

    II. 케인즈 이론과 대공황

    III. 프리드먼 이론과 대공황

    IV. 케인즈 이론 vs 프리드먼 이론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검은 목요일(Black Thursday)이라 불리는 1929년 10월 24일은 여느 날과 다름없이 동이 텄다.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짐작케 하는 것은 타임즈(Times)지에 실린 작일 비상장주가(株價)가 크게 폭락했다는 소식 뿐 이었다. 하지만 그날 미국의 주식시장은 지옥을 맛보았다. 1929년 9월 3일만 해도 다우존스 산업(Dow Jones Industrials) 평균 지수는 당시 신기록인 381.17이었다. 헌데 10월 24일, 장이 마감될 시점에 다우존스지수는 299.47로 20% 이상 하락했다. 11월 3일에는 198.69까지 내려갔는데 이는 9월 3일의 그것에 비해 48%가 하락한 수치였다. 즉 불과 71일 만에 주식의 가치가 절반으로 떨어지고 투자자들은 재산의 절반을 잃은 것이다. 하지만 비극은 멈추지 않았다. 경제적 침체는 지속되어 1932년 7월 8일 다우존스지수는 41.22였는데 이는 1929년 9월 3일과 비교해서 89%이상의 가치를 잃은 수치였다. 이러한 물가의 폭락은 경제 전반적인 파급효과를 통해 재고의 격증, 물가의 폭락, 생산의 축소를 야기했다. 이로 인해 미국의 실업률은 급증하고 경제는 마비되었으며 회복하기까지 20년이 넘는 세월이 걸렸다. 이는 종전에 겪어 보지 못한 규모, 파급범위 그리고 지속성을 가진 경기침체였다. 말 그대로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이었다.
    그렇다면 이 경제적 비극의 원인은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보면 1920년대 미국은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막대한 해외자산축적과 함께 지속적인 국제수지 흑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보기 드문 호황을 누렸다. 즉 주택경기 및 소비재산업의 부흥을 통해 미국경제는 빠른 속도로 성장했고 라디오, 자동차와 같은 각종 생필품의 대중에 대한 보급은 미국인들의 생활양식을 근본적으로 대량소비의 풍조로 변화시켰다. 이 시기에 대한 묘사는 역사학 적으로 논란이 없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문제는 이 시점 이후의 역사인데, 대체 어느 역사적 상황이 대공황을 초래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어 아직 합의된 바가 없다.

    참고자료

    · < 참 고 문 헌 >
    · 1. 단행본
    · Rondo Cameron, A Concise Economic History of the World - From Paleolithic Times to the Present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p.360
    · 2. 논문
    · K. Dadkhah, The Evolution of Macroeconomic Theory and Polic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09)
    · 양동휴, “1930년대 미국대공황의 원인과 성격 - 테민논쟁을 중심으로”, 『미국학(American Studies)』, Vol.15, 1992
    · Ivan Pongracic Jr., "The Great Depression According to Milton Friedman", The Freeman - Ideas on Liberty, (September 2007), Volume: 57, Issue: 7
    · Christina D. Romer, "The Great Depression", Encyclopedia Britannica, (December, 2003)
    · Paul Krugman, "Who Was Milton Friedman?",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http://www.nybooks.com/articles/archives/2007/feb/15/who-was-milton-friedman/, (March 29, 2007)
    · Moen, Jon. "Panic of 1907". EH.Net Encyclopedia, http://eh.net/encyclopedia/article/
    · moen.panic.1907, August 14, 2001.,
    · 이헌대, “세계대공황의 원인과 경제정책”, 『경제사학』, Vol.26, No.1, (1999)
    · Arthur E. Gandolfi and James R. Lothian, "Did Money Forces Cause the Great Depression?", Federal Reserve Archival System for Economic Research, http://fraser.stlouisfed.org/.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