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에서는 호경기와 불경기를 반복하는 경기변동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이란2
- 최초 등록일
- 2019.03.20
- 최종 저작일
- 2018.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레포트114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경제학개론
경제학에서는 호경기와 불경기를 반복하는 경기변동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기 변동이란
2. 호경기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경기 변동은 한 국가 등 거시 경제 활동의 단위에서 장기적인 추세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이 순환 변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많은 경제활동은 거의 동시에 확장, 후퇴, 수축, 회복 등의 과정을 거쳐 순환 과정을 형성한다.
한 나라의 경제 활동은 생산이나 투자, 소비, 고용 등의 실물 부문과 화폐의 유통으로 대표되는 금융 부문, 수출입의 대외부문 등을 포괄하는 거시 경제 변수들이 총합되어 결정된다. 특히 급격한 경기의 변동은 국민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기에 미리 이러한 경기 변동을 예측하고 대처하는 일이 중요하다.
경기 변동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였던 산업혁명 이전에는 공황 정도만을 인식하였고 산업 혁명 이후에는 점차 그 개념이 변화하여 공황 또한 경기 순환의 일부로 인식, 호황에서 불황으로의 전환이 지나치게 급격하거나 불황이 심각한 단계에 접어들었을 경우를 자본주의의 실패로 규정하면서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후 경기 변동을 규명하거나 그 원인을 찾는 이론이 점차 발전, 기상이나 천재지변, 심리적인 영향, 화폐나 수요, 투자 등의 다양한 요인들로써 이를 설명하고 예측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경기변동이란 무엇이며, 호경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경제적 현상과 문제점, 이에 대한 경제정책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경기 변동이란
경기 변동이란 경제 활동이 주기적으로 성장 또는 후퇴를 반복하는 현상으로서 크게 호황기와 후퇴기, 불황기, 회복기를 거치며 연속된다. 호황기의 경기 정점에서 불황기의 경기 저점까지를 수축 국면, 경기 저점에서 경기 정점까지를 확장 국면으로 보며 확장 국면 중 회복기에는 투자와 소비 심리가 회복되며 호황기에는 실제로 투자와 고용, 생산, 소비가 증진된다. 수축 국면의 후퇴기에는 소비가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되며 침체기는 모든 경제 활동이 불황에 빠져 실업률의 증가 소비 위축 등이 나타나게 된다.
생산량이나 소득, 고용, 판매액 등의 주요 거시경제 지수들은 이러한 흐름에 따라 대개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였으나 미국, 캐나다 이외의 국가들에서 절대 수준에서 하락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었다.
참고 자료
그레고리 맨큐, 맨큐의 경제학, CengageLearning, 2015.
최병권 외, 현대경제학, 율곡출판사, 2015.
이명재 외, 현대경제변동론, 박영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