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남선, 「지역사회개발학연구」, 대구; 지역발전연구센터 출판부, 1994.
· 2. 김안제외, 「지방자치의 발전전략」, 서울: 박문각, 1994.
· 3. 박인호외, 「지역발전론」, 서울: 녹원출판사, 1988.
· 4. 이정호,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3.
· 6. 최창호, 「지방자치제도론」, 서울: 삼영사, 1988.
· 7. 황명찬, 「지역개발론」, 서울: 법문사, 1991.
· 8. 황진수, 「현대복지행정론」, 서울: 대명문화사, 1993.
· 9. 船橋市, 「ふなばし未來2001」, 船橋市: 企劃部企劃調整課, 1990.
· 10. 五十嵐富英, 「地域活性化の發想」, 東京: 學陽選書, 1991.
· 11. 江口信淸外 編, 「現代日本の展開方向と地域課題」, 東京: 法律文化社, 1993.
· 12. Marshall, T. H., Social Policy in the Twentieth Century, London: hutchinson, 1970.
· 13. Lowi, Theodore J., Four System of Policy, Politics and Choice, PAR, 1972.
· 14. Titmuss, Richard M., Social Policy: An Introduction, Allen and Urwin, 1974.
· 15. Meier, Knneth J., Regulation, N. Y., St., Martins Press, 1985.
· 16. Veenhoven, R.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991.
· 17. 이성복, "지방자치제하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보」, 제23권 2호, 한국행정학회, 1989.
· 18. 이승종·김홍식,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정책방향", 「한국행정학보」, 26권 2호, 한국행정학회, 1992.
· 19. 정득진, 황을호, "지역사회개발 목표로서의 복지", 「지역사회개발연구」, 제22집 1호,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1997.
· 20. 최외출, "매력있는 지역창조의 논리와 접근방법", 「새마을·지역개발연구」, 제20집, 영남대학교 부설 새마을·지역개발연구소, 1997.
· 21. Jones, Bryan D., "Party and Bureaucracy", APSR, Vol. 74,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