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research paper

설교학에 관련한 글
1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0.09.19 최종저작일 2010.08
17P 미리보기
research paper
  • 미리보기

    소개

    설교학에 관련한 글

    목차

    I. Yeon-Gil Lee and his move toward narrative preaching
    II. Erik Erickson`s theory of ‘Autonomy’, ‘Experiencing the usefulness of identification,’ and ‘Self-Disclosure’ as applied to narrative preaching.
    III. Evaluation of Yeon-Gil Lee`s narrative preaching with Erik Erikson`s theory

    본문내용

    The Korean pulpits are dominated by the three major points style of preaching. Although many people have gotten used to listen to such sermons, they tend to consider such style of sermon as a religious lesson or discipline, rather that the Word of God that touches their hearts. Undoubtedly, this tendency negative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reacher. Then, what are the problems of sermons with three major points? Is there a possible way that a preacher can do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ngregations?
    While I was looking for the answer, I had chances to Yeon-Gil Lee’s narrative preaching, and was amazed by the people’s responses. One of his audiences told me, “I could feel that I and the text unite into one.” Indeed, when I listened to his preaching, I found that his sermon styl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I began to wonder why people like his sermon. What elements of his sermon are so drawing? How does he touches hearts of his audience? I have wondered.
    In the meantime, I looked Erikson’s theory of developmental psychology which potentially could answer my questions about Lee.

    참고자료

    · Alan Loy McGinnis. The Friendship factor. Minneapolis, MN: Augsburg Publishing House, 1979.
    · Craig A. Loscalzo. Preaching sermons that connect.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2.
    · David Buttrick. Homiletic: Moves and Structures. Philedelphia: Fortress Press, 1987.
    · D.bruce Seymour. Creating Stories that Connect. Grand Rapids, MI: Kregel Publications, 2007.
    · Donald Capps. Pastoral Counseling and Preaching. Philadelphia PA: The Westminster Press, 1980.
    · Erik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W. Norton, 1985.
    · Erik H. Erikson.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W.W. Norton, 1980.
    · Eugene L. Lowry. The Homiletical Plot: The Sermon as Narrative Art Form.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
    · Fred B. Craddock. As one Without Authority. St. Louis, MI: Chalice Press, 2001.
    · Kenneth J. Foreman. Identification: Human and Divine. Richmond VA: John Knox Press, 1963.
    · Matthew McKay, Ph.D., Martha Davis, Ph.D., Patrick Fanning. Messages the communication skills Books.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1995.
    · Smith, Christine M. Weaving the Sermon. Louisville, KY: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89.
    · Susan M. Shaw. Storytelling in Religious Education. Birmingham, AL: Religious Education Press, 1999.
    · Valerian J. Derlega,John H. Berg. Self-disclosur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Plenum Publishing, 1987.
    · Robert J. Wicks. Counseling Strategies & Intervention Techniques for the human services. Philadelphia PA: J.B. Lippincott Company, 1977.
    · Yeon-Gil Lee. Homiliary on the Gospel of John. Jongro-gu Seoul: Qumran Publications, 2006.
    · Yeon-Gil Lee. Narrative Preaching. Jongro-gu Seoul: Qumran Publications, 200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