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졸당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0.08.16
- 최종 저작일
- 2007.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수졸당 분석 자료입니다.
목차
Report 9 : 수졸당 평면을 그려보고, 전통건축요소를 분석해보자.
1. ‘수졸당’ 개요
3. 작가 의견
4.비평가 의견
5. 수졸당 의 전통건축요소 분석
6.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작품설명
1970년대에 서울 강남지역이 개발되면서 신시가지로 구획된 집단주거지역에 들어선 주거용 건물이다. 집 앞 골목에서 시작되는 길은 대문을 지나 집안의 흙마당, 마루마당, 뒷마당으로 이어지며 외부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건물은 각 공간 사이에 자연스럽게 제 자리를 차지하며 들어선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진입방식, 외부공간 구성방식, 건물 배치방식은 한국 전통주택의 특성과 통한다. 아래층의 잔디가 없는 흙마당과 마루마당, 장독이 있는 뒷마당, 그리고 위층의 윗마당은 각 공간이 서로 넘나들며, 때로는 정원으로, 때로는 거실로, 때로는 잔치집 마당 등으로 느껴질 수 있다. 특히, 거실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거실 밖 마루마당으로 이어지게 처리함으로써 각 공간들이 실제 보다 크게 느껴지게 처리되었다. 대문채에 붙은 사랑방 앞 흙마당과 거실 앞 마루마당 사이에 위치한 재래식 사고석 담은 마당 사이의 공간이 분절되면서 연속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간 처리 형식은 편리성과 효율성만 추구하는 `기능적 공간`에 바탕을 둔 건축을 만드는 방식과 궤를 달리한다. 제2회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과 1993년 제4회 김수근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 작품배경
- 건축가의 의도와 실제 거주민과의 차이
유홍준 교수의 승효상에 대한 전적인 믿음과 의사존중 신뢰,
둘의 같은 뜻으로 인해 차이를 줄일 수 있었다.
- 거주자의 특성
▪ 노부모께서 모두 통원치료
▪ 유홍준 교수는 교수이지만 직장은 대구에 있는 주말부부
▪ 서울에 연구실이 따로 있어서 별도의 서재가 필요치 않음
▪ 집에는 오밤중에 찾아오는 손님들이 많음
▪ 자녀들은 성인이라 개인적인 공간필요
참고 자료
▸이완건, 의식과 무의식을 통한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41호, 2003
▸이호진 건축의장론, 산업도서출판공사, 2001
▸김봉렬, 시대를 담는 그릇(한국건축의 재발견1), 이상건축 1999
▸텍스트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87호, 2006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