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승혜, [원시유교], 민음사, 1990.
· 금학주(역해), [신역 묵자], 명문당, 1933.
· 노사광, [중국철학사], 정인재(역), [중국철학사], 탐구당, 1986.
· 진 순, [북계자의], 김영민(역), 예문서원, 1993.
· 모종삼, [중국철학십구강], 정인재, 정병석(공역), [중국철학특강], 형설출판사,
· 1985.
· 몽배원, [중국심성론], 이상선(역), [중국심성론], 법인문화사, 1996.
· 박일봉(역), [장자], 육문사, 1996.
· 박은주, "격물치지론의 교육학적 함의", 이홍우, 유한구(편), [교육의 동양적 전통Ⅰ], 성경재, 2000.
· 박종덕, "교육의 근본문제로서의 사단칠정론변", 이홍우, 유한구(편), [교육의 동양적 전통Ⅰ], 성경재, 2000.
· 사중명, [유학여현대세계], 김기현(역), [유학과 현대세계], 서광사, 1998.
· 서부관, [중국인성론사], 유일환(역), [중국인성론사 - 선진편], 을유문화사, 1996.
· 성백효(역주), [맹자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999.
· 이기동(역해), [맹자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8.
· 유한구, [교육인식론 서설] - 교육과정철학 총서 2, 교육과학사, 1998.
· 이홍우, "인간본성론", 이홍우, 유한구(편) [교육의 동양적 전통Ⅰ], 성경재, 2000.
· 이홍우, [성리학의 교육이론], 성경재 연구총서1, 성경재, 2000.
· 이홍우, "교과의 내면화", [아시아 교육 연구], 제 1권 제 1호, 아시아태평양교육 발전연구단, 2000.
· 장기균, 오이(공저), [중국철학사], 송하경, 오종일(공역), 일지사, 1984.
· 최대림(역), [신역 순자], 홍신문화사, 1997.
· 풍우란, [중국철학사], 박성규(역), [중국철학사], 서울 : 까치, 1999.
·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세계사, 1996.
· 홍원식,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쟁",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2000.
· 황갑연, [공맹철학의 발전], 서광사, 1998.
· Hamlyn, D.W.,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 London: R.K.P., 1978, 이홍우 외(역), [경험과 이해의 성장], 서울 : 교육과학사, 1989.
· Schwartz, Benjamin I., The World of Thought in Ancient China,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나성(역),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출판사, 1996.
· Tu Wei - ming, "Pain and Suffering in Confucianism Self - Cultivation," Way, Learning, and Politics: Essays on the Confucianism Intellectual, Albany: SUNY Press, 1993, 정용환(역), "자기 수양의 아픔과 고난", [뚜 웨이밍의 유학 강의], 청계,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