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 누가 전통을 이야기 할 것인가

그러면 누가 전통을 이야기 할 것인가? -종교 현상학에 대한 비판으로서-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7.27 최종저작일 2010.07
13P 미리보기
그러면 누가 전통을 이야기 할 것인가
  • 미리보기

    소개

    그러면 누가 전통을
    이야기 할 것인가?
    -종교 현상학에 대한 비판으로서-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 ‘전통’개념 정립에 대한 교회사적 시론(試論)
    가. ‘전통’개념의 구조적 양태
    나. 해석학적 전통에서 본 ‘전통’개념의 실제
    2. ‘현대주의’의 제 경향과 ‘전통’개념의 상관성
    가. ‘신학적’의미 안에서
    나. ‘사회학적’ 측면에서
    3. 바람직한 내일의 ‘신학함’을 위하여
    Ⅲ. 맺는 말
    Bibliography
    Abstract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기독교는 역사를 떠나서는 이해할 수 없는 종교다. ‘기독교의 진리성은 역사에 단단히 고정되어있다’고 종교사가(宗敎史家) 로버츠(Frank C. Roberts)가 주장했을때 이것은 주로 역사속에서 이루어지는 기독교의 근본적 교의들, 이를테면 십자가와 부활 등의 사실이 지니는 역사성을 염두에 두고 언급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본적 교의들과 함께 간과할 수 없는 요소들은 시대의 흐름을 따라 검증되어 형성되어온 부차적인 교의들, 소위 전통이라고 부를 수 있는 또 다른 기독교의 유산들에 관한 것이다. 오늘의 기독교가 하루 아침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독교는 방대한 역사적 유산, 곧 전통을 소유하고 있다. 1939년 가을 2차대전 발발 직후 옥스포드 대학생들에게 행한 강연에서 루이스(C. S. Lewis)는 전쟁중에 학문을 탐구하는 것이 로마가 불타는 동안 바이얼린을 켜는 것과 유사한지의 여부를 물으면서 그와 같은 비상시국에서도 학문탐구는 매우 가치있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장면을 마스덴(George M. Marsden)은 전한다.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이 속에서 루이스는 현대의 학문적 탐구의 영역이 근대적, 현대적 제 경험에 국한되는 현상을 비판하면서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의 위대한 지적 전통의 상속자들이다. 적극적인 사고와 실제적인 문제 해결의 이러한 전통은 현대 세계의 지적 조류들에 대항하여 싸우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결정적인 동맹자이다. 과거의 통찰들을 끌어오는 것은 오늘날의 문제들에 유용한 관점을 줄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현재의 독단, 즉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식이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라는 독단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종교 현상학에 대한 루이스의 비판적 안목이 오늘날 우리의 신학 풍토에도 적용될 수 있는 메시지를 담고 있지 않을까? 한국 기독교의 대표적인 초교파적 학술 및 사상지 중 하나인 ‘기독교사상’의 통권 400호를 기념하는 특집에서 그간의 편집실적을

    참고자료

    · Aron, Raymon, "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 Montesquieu, Comte, Marx, Tocqueville, Durkheim, Parto, Weber" 이종수역, 사회사상의 흐름 (서울:홍성신서, 1980)
    · Bultmann, Rudolf, "Theology of New Testament"(New York : Charles Scribner`s Sons, 1955)
    · Defarrari, "The Fathers of the Church"(New York : Fathers of the Church, 1951)
    · Dodd, C. H., "The Founder of Christianity"(London : The Macmillan Company, 1970)
    · Fann, K. T. "Wittgenstein`s Concept of Philosophy(Berkel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
    · Gager, John G., "Kingdom and Community-The Social World of Early Christianity" 김쾌상 역, 초기기독교형성과 정연구(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 Gonzalez, Husto L.,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이형 기 / 차종순 역, 기독교사상사(서울 :대한예수장로회총회출 판국, 1990)
    · Harnack, Rudolf V., "History of Dogma"(New York : Dovr Publishings, 1961)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Vol. I
    · Koester, Helmut, "GNOMAI DIAPHOROI : The Origin and Nature of Diversification in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Trajectories through Early Christianity
    · Kuhn, Thom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김 명자 역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 정음사, 1981)
    · Küng, Hans, "Was ist Kirche? 이홍금 역 교회란 무엇인가? (왜관 : 분도출판사. 1991)
    · Küng, Hans/Tracy David, "Theologie-Wohin? 박재순 역(서 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
    · Leith, John H, "Creeds of the Church"(Atlanta : John Knox Press, 1982)
    · Lewis, C, S. "On the Reading of Old Books" God in the Dock (Grand Rapids : Eerdmann, 1970)
    · Marsden, M, George, "기독교 관점에서는 어떻게 역사를 가 르쳐야 하는가? 홍치모 역 기독교와 역사이해 (서울 : 총신 대출판부, 1981)
    · Mitros, J. F. "The Norm of Faith in the Patristic Age" Theological Studies , 1968
    · Pamphilus, 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87)
    · Quasten, Johannes, "Patrology"(Westminster : Christian Classics, 1986)
    · Turner, H. E., "The Pattern of Christian Truth, A Study in the Relations between Orthodoxy and Heresy in the Early Church (London : Mowbray, 1954)
    · Vincent of Lerins, "The Commonitory" trans, R. E. Morris Fathers of the Church VII 1949.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