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기능성 식품의 배경
의료서비스와 보건에 대한 환경이 개선되고 일반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수명이 '80년에 65.8세이던 것이 '95년에는 73.5세로 약 8세가 증가하였고 이 증가 추세는 계속되어 2005년에는 76.1세, 2020년에는 78.1세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이에 따라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95년에 266만 명이지만 2000년에는 340만, 2020년에는 690만 명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암, 고혈압, 당뇨병 등 소위 성인병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5년의 사망원인 통계를 살펴보면 뇌졸증, 고혈압, 심장병 등을 포함한 순환기계 질환에 의한 사망이 전체 사망률의 26.3%을 점하여 1위이고, 암이 21.3%로 2위이며 이어서 소화기계, 호흡계, 감염성 질환 등으로 이들은 근년에 그 비율이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 그런데 사망률 상위를 차지하는 이들 성인병들은 나이에 따라 발병정도나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피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중년 이후의 사람들은 성인병의 예방이나 발병의 지연을 위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병의 발병은 운동부족, 스트레스, 식생활 및 유전요인등이 주요 요인으
· 1. 1996년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35
· 2. 동아일보, 1997. 3. 7
· 3. Baliy, G. S., and D. E. Willams. 1993. Potental Mechanisma for food-related carcinogens and anticarciongens, Food Fechnology, Feb.:105
· 4. 露木 英男, 1994. 食品の 本質と 機能を 考える, New Food Industry, 36(7): 31
· 5. Pszczla, D.E. 1993. Designer foods, Food technology, 47,(3): 92
· 6. 1996. 健康食品の 市場動向と 素材硏究, 食品と開發, 31(3): 26
· 7. Sloan, A. E. 1996. The top 10trends to watch and work on, Food Technology, July: 55
· 8. 식품공전 1994, 보건사회부: 379
· 9. Gill, I. and R. valerty. 1997. palyunsaturated fatty acids, part1. Trends in Biotechnology, Nov.(15): 470
· 10. Dyerberg. J., H. O. Bang, and E. Staffersen. 1978. Eicosapentaenoic acid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The Lancet, Sept. 15: 117-119.
· 11. Shin, Y. C., and H. K. Shin. 1988, Screening of gamma-linolenic acid producing fungi, Korean J. of Food Sci. and Technol., 20: 724-731.
· 12. 신현경, 박종현, 강훈승, 1990, 미생물을 이용한 gamma-linolenic acid의 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E2016-0083
· 13. 안병학, 신현경, 1987, 한국주요 어종의 지방산 조성 및 ω-3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 한국식품과학회지, 19: 181-187
· 14. 신현경 등, 1988, 어류의 고도불포화지방산 추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BSN 7027-72-5
· 15. Han, D., O. S. Yi, and H. K. Shin. 1990. Antioxidative effect of ascorbic acid solubilized in oils via reversed micelles, J. of Food Science, 55: 247-249.
· 16. Medina A. R. et al. 1998. Downstream processing of alg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Biotechnology Advances, 16(3): 517-580
· 17. 光岡知足, 1996. 腸內フロ うの機能とろの利用, 食品工業, 3.30: 18
· 18. 辨理義己 , 新糖質甘味料, 1990. 臨床榮養77(1): 27
· 19. 신현경, 신옥호, 구영조, 1992, 감자단백질이 Cl. perfringens 및 주요장내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0(3): 249-256
· 20. 신옥호, 유시승, 이완규, 신현경, 1992, 방기의 물추출물이 주요 장내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0(5): 491-497
· 21. 한복진, 우상규, 신현경, 1995, 목통의 물추출물이 Cl. perfringens 및 주요 장내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3(6): 633-640
· 22. 이선화, 우순자, 구영조, 신현경, 1995, 쑥, 양파 및 원지가 흰쥐의 장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7(4): 598-604
· 23. 이선화, 신현경, 1996, Bifidobacteria가 이용한 쑥의 올리고당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8(1): 28-33
· 24. 신현경, 이완규 등, 1998. 치커리 및 돼지감자의 Inulin을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 개<<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