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처용랑망해사

삼국유사 권 제2 > 기이 제2 > 처용랑과 망해사 에 있는 것을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 나아가야 할 길을 밝혔습니다.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6.26 최종저작일 2009.06
7P 미리보기
처용랑망해사
  • 미리보기

    소개

    삼국유사 권 제2 > 기이 제2 > 처용랑과 망해사
    에 있는 것을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 나아가야 할 길을 밝혔습니다.

    목차

    1. 삼국유사 권 제2 > 기이 제2 > 처용랑과 망해사
    1.1. 원문
    1.2 번역문

    2. 삼국유사에서의 ‘처용랑 망해사’

    3. ‘처용랑 망해사’의 서사적 구조

    4. 헌강왕대 시대상
    4.1. 삼국사기 권 제11 > 신라본기 제11 > 헌강왕(에서)
    4.2. 삼국유사 권 제1 > 기이 제1 > 우사절유택
    4.3. 삼국사기 권 제11 > 신라본기 제11 > 진성왕
    4.4. 삼국사기 권 제48 > 열전 제8 > 효녀 지은

    5. 처용설화
    5.1. 처용가 연구사
    5.2. 처용가 원문 및 번역문
    5.3. 처용가 감상

    6. 처용설화 전승 과정
    6.1. 「고려사」악지 속악의 <처용> 해설과 이제현의 「소악부」
    6.2. 「고려가요」와 「악학궤범」의 <처용가>

    본문내용

    1. 삼국유사 권 제2 > 기이 제2 > 처용랑과 망해사
    1.1. 원문
    ○ 第四十九憲康大王之代, 自京師至於海內, 比屋連墻無一草屋, 笙歌不絶道路, 風雨調於四時. 於是, 大王遊開雲浦(在鶴城西南今蔚州), 王將還駕, 晝歇於汀邊, 忽雲霧冥, 迷失道路. 怪問左右, 日官奏云, 此東海龍所變也, 宜行勝事以解之. 於是, 勅有司, 爲龍佛寺近境, 施令已出, 雲開霧散. 因名開雲浦. 東海龍喜, 乃率七子現於駕前, 讚德獻舞奏樂. 其一子隨駕入京, 輔佐王政, 名曰處容. 王以美女妻之, 欲留其意, 又賜級干職. 其妻甚美, 疫神欽慕之, 變爲人, 夜至其家, 竊與之宿. 處容自外至其家, 見寢有二人, 乃唱歌作舞而退. 歌曰,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隱吾下於叱古, 二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時, 神現形, 於前曰, 吾羨公之妻, 今犯之矣. 公不見怒, 感而美之, 誓今已後, 見公之形容, 不入其門矣. 因此, 國人門帖處容之形, 以僻邪進慶. 王旣還, 乃卜靈鷲山東麓勝地置寺, 曰望海寺, 亦名新房寺, 乃爲龍而置也. 又幸鮑石亭, 南山神現舞於御前




    1.2 번역문
    第四十九代(제49대) 憲康大王時代(헌강대왕시대)에 서울로부터 海內(해내)에 이르기까지 집과 담이 連(연)하고 草家(초가)는 하나도 없었으며, 풍악과 노래가 길에서 끊이지 않고 風雨(풍우)는 四(사)철 순조로웠다. 이에 大王(대왕)이 開雲浦(개운포)【鶴城西南(학성서남)에 있으니 지금 蔚州(울주)】에 出遊(출유)하였다가 장차 돌아올새 낮에 물가에서 쉬었는데 忽然(홀연)히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여 길을 잃을 程度(정도)이었다. 괴상히 여겨 左右(좌우)에게 물으니 日官(일관)이 아뢰되 이것은 東海龍(동해룡)의 造化(조화)이므로 좋은 일을 행하여 풀 것이라 하였다. 이에 當該官員(당해관원)에게 命(명)하여 龍(용)을 위하여 近處(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하였다. 王命(왕명)이 이미 내리매 구름이 개이고 안개가 흩어졌다. 그래서 開雲浦(개운포)라 이름지었다. 東海龍(동해룡)이 기뻐하여 아들 일곱을 데리고 임금 앞에 나타나서 德(덕)을 讚揚(찬양)하고 춤을 추며 音樂(음악)을 演奏(연주)하였다



    8. 벽사진경(邪進慶 :사귀(邪鬼)를 쫓고 경사(慶事)로운 일을 맞이함)
    벽사진경은 사악함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민속놀이와 처용가에 나온다. q벽사진경의 성격을 띤 민속놀이에는 첫째로 북청사자놀음 (중요무형문화재 제15) 놀이의 목적은 벽사진경에 있는데, 벽사할 능력을 가진 백수의 왕 사자로 잡귀를 몰아내어 마을의 평안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놀이의 비용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벽사를 해준 후에 받는 돈과 곡식으로 충당하였다. 놀이의 기원에 대하여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이사부(異斯夫)가 지금의 울릉도인 우산국(于山國)을 칠 때 나무로 만든 사자를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보이고,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首) 중에서 산예(奸猊)는 사자춤을 가리킨 말이다. 둘째로 용호놀이 경남 밀양시 무안(武安) 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이다. 음력 정월 보름날을 전후로 3∼4일간 벽사진경하는 고을의 큰 행사로 전승되어 1937년까지 계속되다가 중단, 1970년 부활되었다.
    처용가의 벽사진경의 내용은 이러하다. 헌강왕은 처용에게 미녀를 아내로 주었는데 역신이

    참고자료

    · 박기호(1988).「처용랑 망해사」조와 「처용설화」의 연구. 한양어문연구6. 한양대학교 한양어문연구회
    · 최용수(1993) 처용가에 대한 연구 사적 검토. 한민족어문학회.
    · 하태석(2003). 처용 형상의 변용 양상 -처용전승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Vol.47. 민족어문학회
    · 김혜진(2005). 향가의 서정성 연구. 서울여대대학원 박사논문.
    · 전기웅(2005). 憲康王代의 정치사회와 `處容郞望海寺`條 설화. 신라문화 제 26집. 동국대학신라문화연구소
    · 이가원 허경진(2006) 옮김. 일연. 삼국유사. 한길사.
    · 최진형(2008). 처용전승의 계승과 변천. 반교어문연구 제 24집. 반교어문학회
    · 교육고전의 이해
    · 「처용랑 망해사」조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