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황사펀드-소개와 경제성 검토

한양대학교 - 환경문제의 경제적 이해 - 홍종호 교수님 - 교양 소논문 작성 제출한 것입니다. 총 39p. 국내외 어디에도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환경펀드로, 황사펀드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 4인 팀플로, 최종학점 A+ 3인, A0 1인이었습니다. 새로운 주제이며, 비록 학부 교양과목이었지만 중국 문헌까지 번역하는 등 과정을 거쳐 참고자료 약 40여개, 본문 각주 80여개에 달할 정도로 세밀히 작성되었고, 비용편익분석에 의해 경제성 분석까지 시행한 대학원 이상의 졸업논문으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자료입니다. (발표용 ppt도 올렸으니 같이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4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6.14 최종저작일 2009.12
41P 미리보기
황사펀드-소개와 경제성 검토
  • 미리보기

    소개

    한양대학교 - 환경문제의 경제적 이해 - 홍종호 교수님 - 교양
    소논문 작성 제출한 것입니다.
    총 39p. 국내외 어디에도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환경펀드로, 황사펀드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
    4인 팀플로, 최종학점 A+ 3인, A0 1인이었습니다.
    새로운 주제이며, 비록 학부 교양과목이었지만 중국 문헌까지 번역하는 등 과정을 거쳐 참고자료 약 40여개, 본문 각주 80여개에 달할 정도로 세밀히 작성되었고, 비용편익분석에 의해 경제성 분석까지 시행한 대학원 이상의 졸업논문으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자료입니다.
    (발표용 ppt도 올렸으니 같이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목차

    Ⅰ. 주제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p

    Ⅱ. 황사문제와 경제적 피해 5p
    1. 황사의 정의 및 발생 이유 5p
    ⑴ 황사의 정의
    ⑵ 황사의 발생 원인

    2. 황사발생건수 및 피해추정비용 6p

    Ⅲ. 황사펀드 소개 9p
    1. 황사펀드란 무엇인가 9p
    2. 황사펀드 체계의 제안 및 구성원 소개 10p

    Ⅳ. 황사펀드의 수익구조 12p
    1. 수입 (매출액) 12p
    2. 지출 (비용) 12p

    Ⅴ. 각 방안의 경제성 검토 13p
    1. 삼림 비즈니스, 탄소배출권 판매를 통한 수익과 관련 개념 및 현황 13p
    2. 삼림 비즈니스, 목재를 통한 수익과 관련 개념 및 현황 20p
    3.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사업 수익과 관련 개념 및 현황 22p
    4. 황사피해국가의 피해절감에 대한 비용 회수 26p

    Ⅵ. 미흡점 및 비판적 시각 31p
    1. 정보미비에 따른 투자심리 불안정성 31p
    2. 인공림 유지의 불안정성 31p
    3. 정확한 피해비용 측정의 불가능성 33p
    4. 탄소배출권 가격의 변동 가능성 35p

    Ⅶ. 결론 37p

    참고문헌 38p

    본문내용

    중국은 19세기 중반 이후로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며 2차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심각한 공해배출대국으로 인식되어졌다. 이제 중국은 미국과 어깨를 겨룰 만큼 많은 공해를 배출하고 있다. 2000년 중국의 CO₂배출량은 약 30억 5550만톤으로, 57억 2850만톤을 배출하는 미국의 53.33% 수준이었다. 그러나 5년만인 2005년, 중국의 CO₂배출량은 51억 2680만톤으로, 58억 2630만톤을 배출하는 미국의 88.0% 수준까지 치고 올라왔다.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국제통계-환경-CO₂배출량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에게 황사 바람을 보내 괴롭히고 있다는 것도 중국이 가진 환경문제의 하나지만, 세계적으로 봤을 때 더 무서운 건 산업발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바로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전지구적으로 경제발전에 있어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 방식을 택할 것이며, 그것이 비단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있어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되었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자본시장도 ‘환경’이라는 테마에 기존보다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유망 종목에 투자해 수익을 올리는 펀드 운용회사들은 앞다퉈 ‘환경펀드’를 출시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시장이 커진 것은 2005년부터다.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실질적으로 강제하는 교토의정서가 본격 발효되면서 이전부터 환경관련 사업을 영위해 오던 기업들이 대거 환경 테마로 부상했다. 비단 교토의정서의 발효 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지속적 경제발전에서 안정적이고 편안한 생활을 위한 환경이라는 측면에 관심을 돌렸다는 것도 하나의 주 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이 높아진 것이 환경펀드 수요 측면에서의 진전이라면, 환경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내는 기업들이 등장한 것은 공급 측면에서의 진전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즉 환경 테마를 매개로 펀드를 살 고객과 펀드를 투자할 대상기업이라는 공급과 수요의 양면의 층이 동시에 두꺼워지면서 환경펀드 시장도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 [서적]
    · 1. 小林 紀之. 이동근 역. 『지구온난화와 삼림비지니스』. 도서출판 보문당. 2006
    · 2. 김동식 외. 『날씨경영, 하늘에서 돈이 옵니다』. 매일경제신문사. 2006
    · 3. 21세기 평화연구소.『한중 황사 조사 연구단의 탐사보고서 - 황사』동아일보사.
    · 4. 김승우 외. 『환경경제학 - 이론과 실제』. 박영사.
    · 5. 이와사카 야스노부. 김태호 역. 『황사 그 수수께끼를 풀다』. 푸른길.
    · [논문]
    · 1. 서울대학교 우보명 외.『사막화방지 및 방사기술개발』. 2000
    · 2. Ning Ai. 『Intergrated impact analysis of yellow-dust storms : A regional Cases Study in China』. 2003
    · 3. Ken Wilkening. 『Dragon Dust: Atmospheric Science and Cooperation on Desertification in the Asia and Pacific Regio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ume 6 #3』. 2006
    · 4. Yoshika Yamamoto. 『Recent Moves to address the KOSA (Yellow Sand) Phenomenon - Towards solutions for a problem that is an age-old natural phenomenon and has concurrently been infulenced by Anthtopogenic』. Quarterly Review No.22 / January 2007.
    · 5. 추장민 외. 『동북아지역의 황사 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 협력방안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 6. 강광규 외. 『동북아지역 황사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 지역 협력방안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 7. UN경제사회이사회. 『Multi-stakeholder partnerships in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 prevention and control of dust and sand storms』
    · 8. 한기주. 『배출권 획득을 위한 북한 지역 조림 CDM 사업 경제성 분석 연구』
    · 9. 이지훈. 『황사의 피해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6
    · 10. Bihui Jin1 and Ronald Rousseau. 『Dust storms. the 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NSFC Grant No 70673019)』. 2008
    · 11. 석현덕. 『세계 목재시장의 여건변화와 목재의 안정적 확보방안 해외조림투자의 활성화방안을 중심으로』.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1993
    · 12. 王濤 외. 『‘國北方沙漠化過程及其治理硏究』.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13. 『최근 우리나라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구조 분석 및 시사점』. 한국은행. 2008.
    · 14. 김종원. 『확장비용 편익분석: 환경가치의 시장가치화』. 국토연구원.
    · 15. 김현진 외. 『탄소시장의 부상과 비즈니스 모델』. 삼성경제연구소. 2007.
    · 16. 자연의 벗(自然之友).『2007년 중국환경보고서』. 국가환경보호총국. 2007.
    · [언론지 및 기타]
    · 1. 주간한국. 2007. 07.
    · 2. 월간중앙 2007. 06.
    · 3. 머니투데이. 2007. 05.
    · 4. 머니투데이. 2007. 10.
    · 5. 주간한국. 2007. 06.
    · 6. 경향신문. 2007. 03.
    · 7. 환경부 보도자료. 2008. 10.
    · 8. 온바오 중국뉴스 08. 05.
    · 9. 한·중 과학기술 협력센터 보도자료
    · 10. 국가정보원(NIS) 보도자료
    · 11. 메디컬투데이 2008. 09.
    · 12. 광남일보. 2008. 11.
    · [웹사이트]
    · 1. www.pointcarbon.com
    · 2. www.Donga.com
    · 3. www.adb.org/Documents/Books/dust-and-sandstorm
    · 4. www.kosis.kr
    · 5. blog.naver.com/go1korea
    · 6. korean.ningbo.gov.cn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