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시대 상황
1) 사회 문화적 배경
1930년대에 들어와서 파시즘의 팽배와 더불어 일제의 강압적인 식민지 정책은 한층 가열화되어 간다. 30년대는, 초두 1931년에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키는 데서 출발한다. 만주사변은 일본이 동양 전체를 그 지배하에 두려는 계획적이 행동이었다. 그 계획은 불의의 침략전을 합리화시키는 일과, 이에 대한 일본 자국내의 모든 반대 세력을 봉쇄해두는 일이었다. 침략전의 합리화를 위해서는 대동아 공영권이라는 이유를 내세웠다. 그리고 자국내의 반대 세력을 봉쇄하기 위해서는 신질서 건설이라는 구호를 내세웠다.
대동아 공영권이란 아세아 각 민족은 서로 단결하여 서양의 침략에 대항해야 한다는 것으로, 서양과의 대립 감정을 통하여 아세아 각 민족을 결합시키자는 것이다. 그리하여 아세아 각국을 일본의 세력 밑에 두자는 것이 그 진의였다. 이러한 대동아 공영권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일본은 각국 체재를 신질서 건설이라는 구호 아래 통제했다. 신질서는 명치 유신 이래로 확립되어 온 일본의 입헌 의회 정치가 가지는 민주주의적인 체재와 질서를 천황 독재 곧, 군부 독재로 전환시키려는 것이다. 말하자면 제 1차대전 이후 독일과 이태리에서 조성되어 온 파시즘의 체재를 일본에 확립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일본 국내 체재는 국가 목적을 위하여 국민을 통제하는 데 효과적인 것이며, 또한 국가 목적의 어떠한 반대 세력을 봉쇄할 수 있는 정책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일본 제국주의 사상과 파시즘적인 통제가 만주 사변과 함께 강화됨으로써 일본의 대 한국 정책에 일대 변동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한가지 예가 3.1운동 이후의 문화 정책이, 그 이전의 무단 정책으로 환원된 것이다. 일제는 1928년에 발효된 치안 유지법에 기초하여 조선인들에 대한 사상 탄압을 가중시켰다.그리하여 어느 정도 허용되었던 언론의 자유가 다시 검열 등의 방법으로 제한되었고, 민족주의, 공산주의, 자유주의 등의 모든 사상 행동이 경찰의 엄중한 감시를 받게 되고, 집회 결사의 자유가 전면적으로 봉쇄되었다
· 김승희,『현대시 텍스트 읽기』, 태학사, 2001.
· 김용직,『한국현대시인연구(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김윤식,『김윤식 선집 1 -문학사상사』, 솔, 1996.
· 김윤식,『김윤식 선집 5 -시인작가론』, 솔, 1996.
· 김재용․이상경․오성호․하정일 편저,『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 김주현,『이상 소설 연구』, 소명출판, 1999.
· 김준오,『詩論(第4版)』, 삼지원, 1982, 2003.
· 김진균․정근식 편저,『문화과학 이론신서4-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 김진송,『현대성의 형성-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현실문화연구, 1999.
· 김혜니,『한국근대시문학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 문덕수,『한국 모더니즘시 연구』, 시문학사, 1981.
· 박현수,『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 소명출판, 2003.
· 상허문학회,『근대문학과 구인회』, 깊은샘, 1996.
· 안미영,『이상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03.
· 이중재,『〈구인회〉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1998.
· 이태동,『이상』,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 조해옥,『이상 시의 근대성 연구 -육체의식을 중심으로』, 소명출판, 2001.
· Jonathan Culler,『Literary Theor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Press, 1997.
· 금동철,「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시의 수사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0.
· 김문집,「구인회의 존립양상과 미적 이데올로기의 상관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김유중,「이상 시를 바라보는 한 시각」, 어문학 제77집.
· 김주현,「이상 시 〈절벽〉의 기호학적 접근」, 안동어문학회, 1998.
· 류광의,「이상 문학 텍스트 구현 방식과 의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2.
· 손광은,「이광수의 시적논리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40집.
· 우재학,「이상 시의 탈근대적 고찰」, 한국언어문학 제40집.
· 원명주,「한국모더니즘시에 나타난 소외의식과 불안의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승철,「李箱 文學에 나타난 ‘모더니즘’ 硏究 -詩作品을 중심으로」, 淸州大學校 國語國文學科, 1997.
· 채만묵,「韓國 모더니즘 詩」,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