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제개발에서 여성주의 신화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비판

다음 논문에 대한 서평입니다. 여성주의가 제3세계 여성들에 대해 만들어내고 있는 그릇된 신화들의 구조에 대해 비판한 논문입니다. 이에 대해 에드워드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과 푸코의 지식/권력 개념과 담론 이론을 활용하여 현대 여성주의의 흐름을 재조명하였습니다. Article: Cornwall, A., Harrison, E., & Whitehead, A. (2007) ‘Gender Myths and Feminist Fables: The Struggle for Interpretive Power in Gender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nd Change Vol. 38 No. 1, 1-20.
4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09.11.03 최종저작일 2009.10
4P 미리보기
국제개발에서 여성주의 신화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비판
  • 미리보기

    소개

    다음 논문에 대한 서평입니다. 여성주의가 제3세계 여성들에 대해 만들어내고 있는 그릇된 신화들의 구조에 대해 비판한 논문입니다. 이에 대해 에드워드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과 푸코의 지식/권력 개념과 담론 이론을 활용하여 현대 여성주의의 흐름을 재조명하였습니다.

    Article: Cornwall, A., Harrison, E., & Whitehead, A. (2007) ‘Gender Myths and Feminist Fables: The Struggle for Interpretive Power in Gender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nd Change Vol. 38 No. 1, 1-20.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서구 사회가 지금까지 제3세계 여성들에 대해 만들어내는 담론들은 오리엔탈리즘 개념과 놀랄만큼 비슷하다. 오리엔탈리즘이란 서구 사회가 동양을 하나의 균일한 집단으로 타자화하여 관찰하고 연구하고 분석하여 내놓은 담론 체계를 말한다. 오리엔탈리즘에서 서구는 동양을 하나의 동질한 집단으로 단순화하고 신비화하며 궁극적으로 구제의 대상으로 묘사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서구 개발 연구자와 실무자들은 제3세계 여성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집단으로 가정하여 그들을 대표할만한 여러가지 이미지를 생산해왔는데, 이를 통해 그들은 제3세계 여성들의 단순화하고, 신비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그들을 어떻게 구제할 것인지에 대해 몰두하였다. 이러한 여성에 대한 허구적 관념들은 제3세계 여성들을 온전하게 대표하지 못한다. 이는 그러한 이미지들이 모두 허상, 즉 ‘신화’이기 때문에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애초에 제3세계 여성들에 대해서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여성 자체가 동질한 집단이 아니기 때문에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여성에 대한 이러한 조작된 ‘신화’들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으로 기여하는 중요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없는 어그러진 담론에 불과하다. 마치 오리엔탈리즘이 태생적으로 동양의 발전에 궁극적으로 기여할 수 없는 어그러진 사상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화에 대해 잘 보여주고, 동시에 이것이 어떻게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서 여러 가지 범주의 예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신화가 허구라는 것을 밝힌다. 이 논문에서 소개된 신화의 예는 평화, 환경, 부패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여성은 평화를 사랑하고, 여성은 환경친화적이고, 여성은 덜 부패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들이 상당히 왜곡되어 있었던 것임은 오늘날 대부분의 개발 여성주의자들이 받아들이고 있는 부분이다.

    참고자료

    · Chant, S. & Gutmann, M. (2000) Mainstreaming Men into Gender and Development Debates, Reflections and Experiences, Oxfam, Oxford.
    · Cornwall, A., Harrison, E., & Whitehead, A. (2004) ‘Introduction: Repositioning Feminisms in Development’, IDS Bulletin: Repositioning Feminisms in Development Vol. 35 No. 4, 1-10.
    · Cornwall, A., Harrison, E., & Whitehead, A. (2007) ‘Gender Myths and Feminist Fables: The Struggle for Interpretive Power in Gender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nd Change Vol. 38 No. 1, 1-20.
    · Goetz, A.M. (2008) Who Answers to women?: Gender and Accountability, United Nations Development Fund for Women, New York.
    · Escobar, A. (1985) `Discourse and power in development: Michel Foucault and the relevance of His Work to the Third World`, Alternatives Vol. 10 No. 3, 377-400.
    · Jackson, C. and Pearson R. (eds) (1998) Feminist Visions of Development: Gender, Analysis and Policy, Routledge, London.
    · Jolly, S. (2004) ‘Gender Myths’, In Brief, Special Issue, Bridge, Brighton.
    · Kabeer, N. (1994) Reversed Realities: Gender Hierarchies in Development Thought, Verso, London.
    · Lazreg, M. (1998) ‘Feminism and Difference: the Perils of Writing as a Women on Women in Algeria’, Feminist Studies Vol. 14 No. 1, 81-107.
    · McEwan, C. (2001) ‘Postcolonialism, Feminism and Development: Intersections and Dilemmas’, Progress in Development Studies Vol. 1 No. 2, 93-111.
    · Mohanty, C. (1988) ‘Under Western Eyes: Feminist Scholarship and Colonial Discourses’, Feminist Review No. 30 Autumn, 61-88.
    · Moser, C. O. N. (1993) Gender Planning and Development: Theory, Practice and Training, Routledge, London.
    · Parpart, J. L. (1993) ‘Who is the ‘Other’?: A Postmodern Feminist Critique of Women and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Development and Change, Vol. 24., 439-464.
    · Said, E. W. (2003) Orientalism, Penguin, London.
    · Sardar, Z. (1999) ‘Development and the Locations of Eurocentricism’ in Critical Development Theory: Contributions to a New Paradigm, R. Munck & D. O’Hearn (eds), Zed Books, London, 44-62.
    · Standing, H. (2007) ‘Gender, Myth and Fable: the Perils of Mainstreaming in Sector Bureaucracies’ in Feminisms in Development: Contradictions, Contestations & Challenges, A. Cornwall, E. Harrison, & A. Whitehead (eds), Zed Books, London & New York, pp. 101-11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