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엔론사태의 시사점
- 최초 등록일
- 2002.04.07
- 최종 저작일
- 2002.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
목차
■ 엔론(Enron)사태
■ 파산에 이르기까지
1. 고도성장기: 에너지 중개시장을 창출
2. 리스크의 확대 : 파트너십을 통한 성장 추구
3. 신뢰의 추락 : 신용 상실과 파산
4. 엔론 청문회 : 정치적 스캔들로의 비화
■ 엔론 사태의 원인과 문제점
1. 수익성을 무시한 무리한 확장
2. 관련 당사자들의 이해상충과 내부 견제장치의 미작동
3. 금융시스템의 감시 기능 소홀
4. 부실 회계 관행
■ 파산 그 이후
본문내용
■ 엔론(Enron)사태
엔론(Enron)사는 1985년 휴스턴내추럴가스(Houston Natural Gas)와 인터노스(InterNorth Corporation)의 합병으로 탄생하였다.
정부 규제하에 천연가스 및 전기를 공급하는 소규모 공공재 회사(Public Utilities)였던 엔론은 1990년대 초반 에너지 산업 규제완화를 틈타 급부상하였다. 전통적인 송유관 회사를 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에너지 중개사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1990년 에너지산업 규제완화 이후 시장변화를 간파하고 전력 중개사업을 시작하였다. 즉 전력이 남아도는 지역과 부족한 지역간의 전기 현물 거래를 주도하고 전력수요 피크기를 대비한 선물시장도 창출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다는 평을 받았다. 실제로 1990년대 후반 엔론은 구경제의 기반위에 신경제를 결합시킨 혁신적인 기업으로서의 평판을 구축하였다. 또한 선물, 옵션 등 첨단 금융공학 기법을 활용하여 전력 가격 급등락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중개를 통해 얻은 노하우를 확장하여 다른 분야의 중개시장도 창출하였다 . 그외에도 인터넷 붐에 편승하여 인터넷 회선에 대한 시간대별 사용량을 거래하고 광고방송시간, 날씨, 전파 경매 등 미개척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독특한 E비즈니스 거래를 지혹하였다. 정점에 이르렀을때 온라인에서의 거래량이 엔론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로 메릴린치 증권사는 엔론을 ‘신경제’기업으로 분류할정도로 1990년대 후반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각광받는 기업으로 평가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