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학습치료에 대하여: 인지 치료 방법을 중심으로

학습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학습치료 방안으로 여러 가지가 활용되고 있다. 미술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놀이치료, 인지학습치료, 감각통합치료, 사회성증진치료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습장애아들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인지증진 치료는 1990년대 이후 정신의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이 대두되면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모으게 된 방법이다. 다시 말해, 이 치료 방법은 다른 치료 방법들과 달리 통합적 관점에서 각 대상 군에 맞게 절충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다. 때문에 기존에 많이 알려진 학습치료 방법이 아닌 인지 관련 치료 방법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10.23 최종저작일 2009.07
11P 미리보기
학습치료에 대하여: 인지 치료 방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소개

    학습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학습치료 방안으로 여러 가지가 활용되고 있다. 미술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놀이치료, 인지학습치료, 감각통합치료, 사회성증진치료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습장애아들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인지증진 치료는 1990년대 이후 정신의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이 대두되면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모으게 된 방법이다. 다시 말해, 이 치료 방법은 다른 치료 방법들과 달리 통합적 관점에서 각 대상 군에 맞게 절충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다. 때문에 기존에 많이 알려진 학습치료 방법이 아닌 인지 관련 치료 방법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학습장애
    1-1. 학습장애란?
    1-2.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2. 인지학습치료
    3. 인지행동치료
    3-1. 인지행동치료
    3-2. ADHD의 인지행동치료
    4. 인지증진치료
    4-1. 인지증진치료의 발달
    4-2. 인지증진치료의 모델
    4-3. 인지증진치료에서 인지측정
    4-4. 인지증진치료와 학습장애

    Ⅲ. 결 론

    ◆ REFERENCE ◆

    본문내용

    Ⅰ. 서 론
    인터넷 검색창에 ‘학습치료’ 혹은 ‘학습상담’이라고 입력하면, 여러 가지 학습장애와 관련된 치료클리닉이 검색된다. 이와 더불어 학습장애를 앓고 있다고 판단되는 아이의 부모들의 상담내용이 수백 건에 이른다. 인터넷뿐만 아니라 TV 미디어에서도 가끔 스페셜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여러 종류의 학습장애와 그 치료방안, 외국의 사례 등을 소개하며 우리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기도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 초등학생 중 10% 조금 넘는 비율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보인다고 한다. 이렇듯 학습치료는 비단 학습장애아 부모의 관심영역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다뤄져야할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학습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학습치료 방안으로 여러 가지가 활용되고 있다. 미술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놀이치료, 인지학습치료, 감각통합치료, 사회성증진치료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습장애아들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중략..


    Ⅲ. 결 론
    앞서 계속적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습 장애율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그럼에 따라 학습장애에 관한 다양한 학습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고, 점점 더 많은 기관에서 치료가 이행되고 있다.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에서 인지행동치료와 사고의 확장과 전환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지증진치료법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학습치료가 필요한 대상들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측정 부분이 불명확하다. 게다가 학습장애를 앓고 있는 아동의 부모들이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이 가장 시급할 수 있는 문제이다. 때문에 학교나 기관, 미디어를 통해 학습장애를 판단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교육과 동시에 학습치료에 대한 소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치료 방법에서도 어느 부분 하나에 치우친 편협된 방법이 아닌 다양하고 통합적인 기법을 계속적으로 연구해 명확한 치료적 요인을 규명하고 가장 효과적인 기법을 확정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김미애, 홍창희 (1999). 약물 치료 중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치료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과 하계학술대회.
    ·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이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429-445.
    · 김필숙 (2009).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학교적응력 향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두정훈, 손정락 (2003). Think Aloud 훈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1-15.
    · 송현주 (2007). 학습 장애에 인지증진치료의 활용 고찰. 심리치료, 7, 1-22.
    · 신민섭, 김상선, 오경자 (2006). 아동 청소년 정신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6, 145-161.
    · 이숙경 (2006). ADHD 아동을 대하는 초등교사의 체험분석.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임옥옥, 김혜리 (2004). Think Aloud 훈련이 과잉활동 성향이 있는 학령전기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 171-189.
    · 조수철 (1990). 주의력결핍 · 과잉운동장애의 개념과 생물학적 연구. 소아 · 청소년정신의학, 1(1), 5-26. 대한소아 · 청소년정신의학회.
    · 채정호, 김원, 유태열 (2003).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효능(efficacy)과 유효성(effectiveness), 인지행동치료, 3, 9-26.
    · Bailey, V. (2001). Cognitive-behavioural therap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7, 224-232.
    · Barkley, R. A. (199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 Beck, A. (1995) Cognitive therapy: Past, present and future. In M. Mahoney(Ed.), Cognitive and constructive psychotherapies: Theory, research and practive (pp. 29-41). New York: Springer.
    · Camp, B., & Bash, M. (1981). Think Aloud: Increasing social and cognitive skill-A problem solving program for children (Primary Level). Champaign, IL:Research Press.
    · Clark DM, Fairburn C (1997). Science and Practice of Cognitive Behaviour The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 Corrigan, P. W., & Yudofsky, S. C. (1996). What is Cognitive Rehabilitation? In P.W. Corrigan., & S.C. Yodofsky(Eds.),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Neuropsychiatric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 Grave, J. & Blissett, J. (2004). Is cognitive behavior therapy develpmentally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 399-420.
    · Lashley, K. S. (1938). Factors limiting recovery after central nervous lesion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88, 733-735.
    · Lyon, G. R., Fetcjer, J. M., & Bartnes, M. C. (2003). Learning disabilities. In E. J. Mash & R. A. Barkley (Eds.), Child psychopathology(2nd ed., pp.520-286). New York: Guilford.
    · Mather, N., & Goldstein, S. (2001) Learning disabilities and challenging behaviors: A guide to interven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Baltimore, ML: Paul H. Brooks Publishing Co.
    · Reschly, D. J., Hosp, J. L., & Smied, C. M. (2003). And miles to go... State SLD requirements and authoritative recommendation. National Research Center on Learning Disabilities. Retrieved July 22, 2003, from the World Wide Web: www.nrcld.org.
    · Schutz, L. E., & Tranior, K. (2007). Evaluation of cognitive rehabilitation as a treatment paradigm. Brain Injury, 21(6), 545-557.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