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외 국 서 적
· Belenky, M. F., Chinchy, B. M., Goldberger, N. R., Tarule, J. M.
· Women`s Ways of Knowing. New York : Basic Books, Inc., 1986.
· Boulding, E. The Underside of History : a View of Woman through Time.
· Clorade : Westview Presss, 1976.
· Dizzark, J. Social Change in the Family. Chicago: Community and
· Family Study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1968.
· Fiedan, B. The Femine Mystique. New York : W. W. norton & Com.
· Inc., 1963.
· Fiorenza, E. S. "Word, Spirit and Power : Women in Early Christian
· Communities", Women of Spirit. New York : Simon and Schuster, 1978.
· Freeman, J. Women : A Feminist Perspective. California: Mayfield
· Pub. Com., 1979.
· Freud, S. Women and Analysics : Dialogues on Psychoanalytic Views
· of Feminity. New York : Grossman, 1974.
· Freud, S., Strachey, J. New Introductory Lectures in Psychoanalysics.
· New York : Norton, 1965.
· Gilligan, C. In A different Vo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 Press, 1982.
· Howe, E. M. Women and Church Leadership. Grand Rapids: Zondervan,
· 1982.
· Howe, R. L. The Miracle of Dialogue. New York : Seabury Press, 1963.
· Janeway, E. Man`s World, Woman`s Place. New York : Dell Publishing
· Co., 1971.
· Kohlberg, L. The Psychology of Moral Development. New York : Harper &
· Row, 1984.
· Piaget, J.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 Free Press,
· 1965.
· Rose, A. M. Problems of the Middle - Aged. Springfield : C. C.
· Thomas, 1965.
· Ruether, R. R. Mary - the Feminine Face of the Church. Philadelphia :
· the Westminster Press, 1977.
· Rurnish, v. p. The Moral Teaching of Paul. Bashville: Abingdon
· Press, 1979.
· Russell, L. M. Human Liberation in a Feminist Perspective.
· Philadelphia : Westminster Press, 1974.
· Slee, N. "Woman`s Silence in Religious Education", British
·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Vol. 12, Autumn, 1989.
· 2. 번 역 서
· Beauvoir, S. D. [제 2의 성] 조홍식 역, 서울 : 을유문화사, 1986.
· Bebel, A. [여성과 사회] 서병렬 역, 서울 : 한밭출판사, 1983.
· Buber, M. [나와 너] 김천배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3.
· Fiorenza, E. S. [크리스챤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 김애영 역, 서울:종로서적, 1986.
· Frieze, I. H. 외 4인 공저, [여성과 성역할] 최외선 역, 경북 : 영남 대학
· 교 출판부, 1985.
· Hamilton, R. [여성해방 논쟁] 최민지 역, 서울 : 풀빛, 1982.
· Hurley, J. B. [성경이 말하는 남녀의 역할과 위치] 김진우 역, 서울 : 여
· 수룬, 1989.
· L thi, K. [하느님의 새 이브] 김윤옥 역,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 1984.
· Millete, K. [성의 정치학] 정의숙, 조정호 역, 서울 : 현대 사상사,
· 1990.
· Moltmann, J. [창조안에 계신 하느님] 김균진 역, 서울 : 한국 신학 연구
· 소, 1987.
· Rad, G. V. [창세기] 한국 신학 연구소 역,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 1980.
· Rowbotham, S. [영국 여성운동사] 이효재 역, 서울 : 종로서적, 1983.
· Ruether, R. R. [성차별과 신학] 안상님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 1985.
· Ruether, R. R., Fiorenza, E. S. [여성들을 위한 신학] 이우정 편, 서울
· : 한국 신학 연구소, 1985.
· Russell, L. M. [파트너쉽과 교육] 손승희 역, 서울 : 현대 사상사, 1982.
· Saffioti, H. I. B. [산업사회의 여성] 김정희 역, 서울 : 일월서각,
· 1986.
· Schneir, M. [여성의 권리] 강기원 역,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81.
· Sherrill, L. J. [만남의 기독교교육] 김재은, 장기옥 역, 서울 : 대한 기
· 독교 출판사, 1981.
· Stott, John R. W. [현대사회 문제와 기독교적 답변] 박영호 역, 서울 :
·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89.
· Taylor, M. J. [기독교 교육의 새방향] 이기문 역, 서울 : 대한 예수교 장
· 로회총회 출판국, 1985.
· Taylor, M. J. [기독교 교육학] 송광택 역, 서울 :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
· 회 출판국, 1988.
· Toffler, A. [제 3의 파도] 김태선, 이귀남 역, 서울 : 홍성사, 1987.
· 루빈, R. [중년여성의 좌절과 홀로서기] 김용미 역, 서울 : 정우사, 1990.
· 수전주기. [여성해방 사상의 흐름] 김희은 역, 서울 : 백산서당, 1983.
· 옥성조. [세계 여성사] 김동희 역, 서울 : 백산서당, 1986.
· 3. 국 내 서 적
· 김두현. [한국 가족제도 연구] 서울 : 서울대 출판사, 1969.
· 김윤옥 편. [여성 해방을 위한 성서연구]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8.
· 김이봉. [여성신학] 서울 : 양서각, 1985.
· 김행자. [인격의 자유화를 위한 서장] 서울 : 평민사, 1984.
· 김활란박사 5주기 기념 한국 여성연구 협의회. [한국 여성의 어제와 내일]
· 서울 : 이화여대 출판부, 1976.
· 민경배. [한국 기독교회사]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
· 박순경. [한국 민족과 여성신학의 과제]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3.
· 박용옥외 6인. [한국 여성연구 I - 종교와 가부장제] 서울 : 청하, 1990.
· 손승희. [여성신학의 이해] 서울 : 한국 신학연구소, 1989.
· 오인탁 외 4인. [기독교 교육론] 서울 : 대한 기독교 교육협회, 1984.
· 윤후정 외 5인. [현대 한국 여성론] 서울 : 삼민사, 1986.
· 은준관. [교육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0.
· 이우정 편. [여성들을 위한 신학]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5.
· 이우정. [여성들을 위한 신학]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8.
· ______. [한국 기독교 여성 백년의 발자취] 서울 : 민중사, 1985.
· 이화여대 한국 여성 연구소 편. [한국 여성과 일] 서울 : 이대출판부,
· 1986.
· 이효재, 김조숙. [한국 여성의 지위] 서울 : 이화여대 출판부, 1978.
· 장병욱. [한국 감리교 여성사] 서울 : 성광 문화사, 1979.
· 제 8회 사회복지 심포지엄. [현대사회와 여성] 서울 : 아산 사회복지 사업
· 재단, 1986.
· 조혜정. [한국의 도시여성과 직업] 서울 : 유네스코 한국 위원회, 1982.
· 한국 여성 개발원. [남녀 차별없는 사회] 교육자료 300 - 5.
· 한국 여성 개발원. [여성과 발전 II] 교육자료 300 - 15.
· 한국 여성 개발원. [여성과 성차별] 교육자료 300-7. 서울 : 한국 여성 개
· 발원, 1986.
· 한국 여성 개발원. [여성문제에 관한 태도개선 방안] 연구보고 100-4. 서
· 울 : 한국 여성 개발원, 1988.
· 한국 여신학자 협의회. [한국 여교역자에 관한 기초조사 보고서] 서울 :
· 한국 여신학자 협의회 목회연구 위원회, 1983.
· 한국 여신학자 협의회. [한국 여성신학의 과제] 서울 : 한국 기독교 가정
· 생활협회, 1983.
· 홍승일. "여성과 참정", [불멸의 여인상] 서울 : 계몽사, 1962.
· 4. 사전 및 정기간행물
· "잘못된 여성관". [청년법정] 제 2호. 이화여대 법정대 편집부, 1990. 5.
· 21.
· 기독교 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기독교 대백과 사전] 서울 : 기독교문사,
· 1985.
· 서광선. "한국 교회와 여성". [새가정] 1978. 8, 9.
· 성서백과 대사전 편찬위원회. [성서백과 대사전] 서울 : 성서교재 간행사,
· 1979.
· 안계춘. "우리나라 노동력의 구조와 변동". [연세사회학] 제 7호, 1986.
· 정요섭. "기독교가 한국 여성의 개화에 미친 영향", [아세아 여성연구] 제
· 6집, (서울 :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 연구소, 1968.)
· A. 베벧, [여성과 사회] 서병렬 역 (서울 : 한밭 출판사, 1983), p. 15.) Phyllis Trible, God and the Phetoric of Sexuality, pp.12-13.
· 장상, "기독교 여성관의 재발견", [한국 여성연구I] (서울 : 청하, 1990), p. 88에서 재인용.)
· M. F. Belenky 외 3인, Women`s Ways of Knowing (New York : Basic Books, Inc., 1986), pp. 6-7. 케이트 밀레트, [성의 정치학 (上)]
· (서울 : 현대사상사, 1990), p. 54.
· 남성의 속성은 `권위와 독립의 개발, 비평적 사고, 권리와 정의의 표
· 출` 이며 공격성, 지력, 힘등을 지닌다. 반면에 여성의 속성은 `상호의
· 존, 친밀함 (intimacy), 양육, 상황적 사고`이며 수동성, 온순, 덕성들을
· 지닌다.)
· Betty Friedan, The Femine Mystique (New York : W. W. Norton &
· Com. Inc., 1963), p. 10.)
· 김행자, [인격의 자유화를 위한 서장] (서울 : 평민사, 1984),pp. 83-84.)
· 오인탁외 4인, [기독교 교육론] (서울 : 대한기독교 교육협회,
· 1984), p.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