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구강의 해부와 생리

구강의 해부와 생리
10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09.08.06 최종저작일 2009.08
10P 미리보기
구강의 해부와 생리
  • 미리보기

    소개

    구강의 해부와 생리

    목차

    구강의 발생
    구강의 해부
    구강의 림프 분포
    구강의 기능

    본문내용

    구강의 발생

    구강원기(stomatodaeum)라 불리는 원시구강(primitive oral cavity)은 배아 4주에 열상(slit-like) 공간으로 나타나고 위로는 뇌와 아래로는 심막낭(pericardial sac)에 의하여 경계 지워진다. 협인두막(buccopharyngeal membrane)은 원시구강과 전장(foregut) 사이에 위치하는 얇은 중격으로, 나중에 사라지게 되면서 구강과 발생 중인 인두는 연결된다.
    새궁(branchial arch)은 인두의 측벽과 기저부에서 중배엽(mesoderm)이 응축(condensation)되면서 기원한다. 새궁 사이로 인두면의 일련의 열(cleft)들은 그에 해당하는 외배엽(ectoderm)의 열들과 마주한다. 이러한 중배엽 응축과정과 분화가 계속되어 연골 축과 새근육층(branchial musculature), 새궁동맥(branchial arch artery)이 발생된다.(Paten, 1953) 각 궁은 신경과 피부, 근육, 궁의 내배엽(endoderm)으로 가는 신경을 갖는다. 그리고 각 궁은 연속된 궁의 신경으로부터 가지 신경을 받는다.
    배아 6주까지 발달중인 두부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두 개의 하악돌기(mandibular process)는 중앙에서 만나 융합되어 하악을 형성한다. 상악돌기(maxillary process)는 하악돌기에서 발아하고 발생 중인 안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성장하여 하강 중인 비돌기(nasal process)의 하단부와 만난다.
    상악돌기의 융합은 원시구개(primary palate)를 형성하고 원시구강(primitive oral cavity)에서 원시비강(primitive nasal cavity)을 분리시킨다.
    각 상악돌기는 내측으로 성장하여 나중에 비중격과 이차구개(secondary palate)를 형성하고 발생 중인 혀의 하강 후 서로 융합한다.

    참고자료

    · Archer, W. H (1978)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hiladelphia: W. B. Saunders
    · Bell, W. E. (1989) Orofacial Pain. Chicago: Year Book
    · Berkovitz, B. K. B. and Moxham, B. J. (1988) A Colour Atlas and Textbook of Oral Anatomy. London: Wolfe
    · Bhaskar, S. N. (1986) Orban`s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St Louis: C. V. Mosby
    · Brand, R. W. and Isselhard, D. E. (1994) Anatomy of Orofacial Structures. St Louis: Mosby
    · Duterloo, H. S. (1991) An atlas of Dentition in Childhood. London: Wolfe
    · Goose, D. H. and Appleton, J. (1982) Human Dentofacial Growth. Oxford: Pergamon
    · Ham, A. W. and Mccormack, D. H. (1979) Histology, 8th edn. Philadelphia: J. P. Lippincott & Co
    · Hekneby M. (1974) The load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hysical calculations and analyses. Journal of Prosthetkc Dentistry, 31, 303-312
    · Henkin, R. I. (1976) Taste. In: Scientific Foundations of Otolaryngology, edited by R. Hinchcliffe and D. F. N. Harrison. London: Heinemann. pp. 468-483
    · Jenkins, G. N. (1978)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the Mouth. London: Blackwell
    · Killey, H. C. (1971) Fractures of the Mandible, 2nd edn. Bristol: Wright
    · Kraus, B. S., Kitamura, H. and Latham, R. A. (1966) Atlas of Developmental Anatomy of the Face. New York: Harper Row
    · Laskin, D. M. (1980)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t Louis: C. V. Mosby
    · Lavelle, C. L. B. (1988) Applied Oral Physiology, 2nd edn. London: Butterworth. pp. 1-21
    · Liebgott, B. (1982) The Anatomical Basis of Dentistry. Phildelphia: W. B. Saunders
    · Mathog, R. (1984) Maxillo-facial trauma. Baltimore: Williams & Wilkins
    · Paten, B. M. (1953) Human Embryology. London: McGraw Hill
    · Poswillo, D. (1975) Causal mechanisms of cranio-facial deformity. British Medical Bulletin, 31, 101
    · Ranly, D. M. (1988) A Synopsis of Craniofacial Growth, 2nd edn. Norwalk: Appleton & Lange
    · Sarnat, B. G. and Laskin, D. M. (1976)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pringfield: C. C. Thomas
    · Scott, J. H. (1967) Dento-facial Development and Growth. Oxford: Pergamon
    · Scott, J. H. and Symons, N. B. B. (1977) Introduction to Dental Anatomy, 8th edn.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 Sperber, G. H. (1976) Cranio-facial Embryology, 2nd edn. Bristol: Wright
    · Van Beek, G. C. (1983) Dental Morphology. Bristol: Wright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