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단체와 공공기관 지역사회교육 사례분석
- 최초 등록일
- 2009.07.12
- 최종 저작일
- 2009.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minji****
11회 판매

소개글
시민단체와 공공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비교, 분석한 과제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시민단체와 공공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1. 시민단체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2. 공공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3. 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공통점과 차이점
4.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시민단체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1) 교육목표
시민단체는 친환경적인 인간 양성, 환경적 감수성, 생태적 상상력 증진, 공동체의식 형성, 환경에 대한 통합적 접근 등 환경 윤리적인 내용과 자원봉사자 양성, 여성 지도력 강화, 생활지도자 양성 등 체험위주의 교육목표가 많다.
2) 참가인원
시민단체의 교육프로그램은 20명에서 30명 정도의 소그룹으로 실시된다.
3) 교육기간
연중 비정기적으로 일 단위나 주 단위의 강의를 진행하며, 학생 대상의 방학 프로그램도 존재한다.
4) 교육방법
시민단체에서는 강의, 토론, 체험위주의 기행, 탐사, 현장답사, 시청각 매체 활용, 교육자료 사용 등의 교육방법과 심포지움, 워크샵 형태로 교육이 진행된다.
5)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대상
실시하고 있는 현재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을 조사한 결과, 시민단체에서는 주부(64.2%)가 1위를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는 중고생, 초등학생 순서였다.
6) 환경교육 실시에 따른 문제점
시민단체의 담당자들은 현행 환경교육의 문제점을 내용면에서는 현장학습 위주가 아닌 환경지식 위주의 교육을, 관리 및 운영면에서는 지속성의 부재, 관계자의 환경인식 부족을, 시설면에서는 체험공간과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
참고 자료
<단행본>
1. 김남선 저, 평생교육개론, 형설출판사, 2006
2. 김남선 저, 지역사회교육론, 형설출판사
<논문 및 보고서>
1. 노지영․조영민 저, 민간단체 및 정부기관의 사회 환경교육에 대한 역할 연구, 경희대학교, 2004
2. 허정림․최경희 저, 시민단체와 공공기관의 사회환경교육 현황, 이화여자대학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