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정치사상] 정몽주와 정도전의 배불론 비교 검토

"[정치사상] 정몽주와 정도전의 배불론 비교 검토"에 대한 내용입니다.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2.03.02 최종저작일 2002.03
23P 미리보기
[정치사상] 정몽주와 정도전의 배불론 비교 검토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여말 배불론의 대두
    Ⅲ. 정몽주의 불교 인식
    Ⅳ. 정도전의 불교 인식
    Ⅴ. 양자의 불교 인식 비교 검토
    Ⅵ. 결론

    본문내용

    Ⅰ. 序 論
    鄭夢周(1337∼1392)와 鄭道傳(1342∼1398)은 고려 왕조의 멸망과 조선왕조의 개국에 정치적, 사상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역사에서 14세기말이라는 전환기 사회의 성격 이해와 관련되는 중요한 탐구주제들이 이 인물과 많은 관련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그들이 고려 말기에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던 士大夫의 모습을 잘 갖추고 있었을 뿐 아니라, 新王朝의 개국 이후에 제기된 정치·사상활동과도 깊이 관련되었기 때문이다.
    고려 사회는 국초 이래로 儒彿 공존 체제였다. 그런데 고려말 性理學의 受容은 사상계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한 新興士大夫들은 이런 儒彿 공존 체제에 대하여 기존과는 다른 인식을 하기 시작하여, 佛敎의 社會·經濟的 弊端에 대해 적극적인 비판을 하였고, 더욱 심한 경우는 불교 그 자체를 배척하는 부류도 등장하였다. 즉 麗末에 拜佛 運動은 두 개의 흐름이 있었는데, 하나는 온건한 불교 비판으로 사원 또는 승려의 폐단을 주로 비판한데 비하여, 다른 하나는 불교 교리 자체를 철학적·이론적으로 비판하는 적극적인 배불 운동이었다. 이와 같은 고려말 사상계의 변화 모습에 있어서 정몽주와 정도전의 불교 인식은 서로 다른 두 배불 운동의 입장을 대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三峰集>>
    · <<陽村集>>
    · <<朝鮮王朝實錄>>
    · <<圃隱集>>
    · 金潤坤. <新興士大夫의 擡頭>. <<韓國史>> 8호 國編委, 1977.
    · 金忠烈. <<高麗儒學史>>. 高大出版部, 1984.
    · 文暻鉉. <麗末 性理學派의 形成>. <<韓國의 哲學>> 9호 慶北大, 1980.
    · 閔賢九 <辛頓의 執權과 그 政治的 性格>. <<歷史學報>> 38호, 1968.
    · 朴龍雲. <權門勢族, 新進士類 社會의 思想과 文化>. <<高麗時代史>>. 一志社, 1987.
    · 朴鍾鴻. <東方 理學의 祖로서의 鄭圃隱>. <<韓國思想>>, 1974.
    · 宋昌漢. <鄭道傳의 斥佛論에 대하여>. <<大邱史學>> 15.16합, 1978.
    · 安啓賢. <麗元 關係에서 본 高麗佛敎>. <<黃義敦古稀記念史學論叢>>. 東國大出版部, 1960.
    · 李相佰. <三峰 人物考>. <<震檀學報>> 2.3호 1935.
    · 李相佰. <儒彿兩敎 交代의 기연에 대한 一硏究>. <<韓國思想論叢>>. 乙酉文化社, 1947.
    · 李相佰. <李成桂와 高麗 末期의 政爭>. <<李朝 建國의 硏究>>. 乙酉文化社, 1947.
    · 李乙浩. >朝鮮 前期의 儒家 哲學>. <<韓國哲學硏究>>. 東明社, 1990.
    · 李鍾益. <鄭道傳의 闢佛論 批判>, <<佛敎學報>> 8호 , 1971.
    · 趙南國. <麗末鮮初 佛敎交涉에 관한 硏究>. <<江原大論文集> 15호, 1981.
    · 圃隱硏究叢書. <<圃隱思想硏究論叢>> 1호 圃隱思想硏究院出版部, 1992.
    · 韓永愚. <鄭道傳의 著述>. <<鄭道傳 思想의 硏究>>. 서울出版部, 1973.
    · 韓鍾萬. <麗末鮮初의 排佛·護佛思想>. <<韓國佛敎思想史社>>. 圓光大出版局, 1975.
    · 許興植. <僧政의 紊亂과 宗派間의 葛藤>. <<高麗佛敎史硏究>>. 一志社, 1986.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