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작품해독
Ⅲ. 노래의 創作時期
Ⅳ.신라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
본문내용
〈慕竹旨郞歌〉는 『三國遺事』 卷第二 孝昭王代 竹旨郞條에 실려 있는 이른바 8句體 鄕歌이다. 金庾信과 더불어 삼국통일에 기여했으며, 眞德, 太宗, 文武, 神文 등 4대에 걸쳐 宰를 지냈던 竹旨郞이 暗塞不通한 益宣에게 끌려가 勞役에 시달리는 郎徒 得烏를 慰撫하는 이야기와 그에 관련된 說話를 배경으로 하여 창작된 詩歌이다. 너무나 위대한 人品을 지녔기에 마치 彌勒의 現身처럼 느껴지기도 했던 죽지를 득오가 思慕하여 지은 노래라고 배경설화는 전하고 있다.
『三國遺事』에 전하는 14편의 鄕歌 가운데 〈慕竹旨郞歌〉는 여러 가지 면에서 논란이 많았던 작품이다. 어학적인 해독의 결과에 상당한 차이를 찾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하여 창작시기에 관한 논란이 야기되었다.
연구사에서는 작품의 어학적, 문학적 해독과 창작시기에 관한 여러가자 논의들을 나열해보겠고, 그 당대(신라)의 사회 정치적 변화가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도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작품분석에서는 竹旨郞說話의 收錄動因과 構造, 〈慕竹旨郞歌〉의 創作시기, 죽지랑이 당한 수모, 鄕歌解讀, 〈慕竹旨郞歌〉의 성격, 「紀異」와 윤회사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
참고 자료
1) 박노준, [新羅歌謠의 硏究], 열화당, 1982.
2) 시인 이장희, 김윤완 공저, [한국의 고전사가 해석과 감상], 글벗사, 1995.
3) 김승찬, [한국상고 문학론], 새문사, 1987.
4) 나경수, [향가문학론과 작품연구], 집문당, 1995.
5) 김승찬, [향가문학론], 새문사, 1986.
6) 윤경수, [향가, 여요의 현대성 연구], 집문당, 1993.
7) 홍기삼, [향가설화 문학], 민음사, 1997.
8) 화경고전문학연구회,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9) 정병욱 선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간행, 집문당, 1992.
10)김문헌, [향가여요 교육관], 집문당, 1997.
11)조동일, [제 3판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994.
12)장진호, [신라향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3.
13)김용진, [향가의 정서 표현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14)이승희, [향가의 서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5)조평환, [향가의 배경론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