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Why did Philips become the leading company in most of its business in an era when scores of electrical engineering companies were being started (GE, RCA, EMI, THOMSON, GRUNDIG, MATSUSHITA, HITACHI AND TOSHIBA, etc.)?
Q2. Konasuke Matsushita took his first trip abroad in the 1950's. How was his company able to overtake Philips in only 30 years? What strategic competences did they build?
Q3. Why is Philips having so much difficulty adjusting to the 1980's?
Q4. What do you think of Matsushita's planned changes?
본문내용
Matsushita는 divisional structure를 채택하였다. 이러한 `one-product-one division` system 하에서 각각의 생산라인은 independent corporation 처럼 자치적으로 관리되었다.
Matsushita는 corporate treasury를 시중 은행처럼 운용하였다. central finance department
는 마치 은행처럼 divisions` loan request를 review하였다.
이러한 divisional structure는 division 간의 경쟁을 유발하고 성장을 위해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는 것을 독려하였다. central research laboratory(CRL) 은 division 들의 기술 혁신을 지원하였다. Matsushita는 의도적으로 CRL에 대한 지원을 부족하게 함으로써 division 들의 R&D 참여를 유도하였다.
KM은 1951년 미국 여행에서 돌아와 `to survive and to grow we have to become international not only in our operation but also in our out look` 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합작 회사를 찾을 수 없었던 Matsushita는 필립스와 기술 이전과 licensing을 체결한다.
미국 내에서의 부족한 판매망과 부족한 brand image를 타계하기 위하여 미국 내에서 new
mass merchandisers and discounters를 이용하게 되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Matsushita 의 수출은 반덤핑 규제를 유발하였고 Matsushita 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과 유럽에 생산공장을 설립하게 되었다.
성장하는 VCR 시장을 공략하기 위하여 VHS format을 채택한 Matsushita는 다른 기업과의 적극적인 라이센스 계약과 적극적인 OEM policy를 통해 VHS format 이 Betamax
format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하여 Matsushita는 괄목할만한 판매성장을 이룰 수 있었으며 이는 대량 생산을 통한 가격 인하로 이어졌다. 이로써 1980년대 중반 VCR은 판매의 30%를 차지하고 45%의 profits을 제공하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