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위기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1.11.28
- 최종 저작일
- 2001.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혹시나 더 궁금하신 점이나 의문점이 있으시다면 제 메일로 연락주세요...최선을 다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들어가지 전에 .....
1. 서두
2. 한국경제 현황
3. 광주 경제현황과 실업
4. 광주시 공공근로사업
5. 실업대책 총망라
본문내용
2. 한국경제 현황
(1) IMF의 원인이 된 한국 경제
한국경제를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트린 나라"로서 불리기도 한다. 한국경제는 세계적 경제변화를 의식하지 못하고, 과거 경제계발계획 시기부터 이어온 정부 개입을 통한 성장위주정책이 90년대까지 이어오려는 것이 한국경제의 위기 원인을 제공하였다. 세계경제는 글로벌화를 지향하면서 경제의 주도자가 국가가 아닌 초국적 기업에 의해 경제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국제무역기구(WTO)출현은 이를 더욱 가중시켰다.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경쟁의 양상이 다차원화 되고, 기업의 국적개념이 사라짐에 따라 국가간 경쟁이 기업간 경쟁으로 전환하는 무한 경쟁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와 함께 미국은 정보혁명을 통한 세계 경제무역을 장악하려 하고 있다. 우리는 신경제라고 불리 우는 변화된 흐름을 주시하지 않았다. 제조산업에 투자 폭을 늘려 정보산업의 형태변화를 지각하지 않았다. 또 하나의 원인으로 글로벌화에 따라 국제금융투자 또한 글로벌화 되어 자국의 투자보다는 국가를 넘어선 타국가를 투자하는 성행했기 때문에 많은 외채를 차용하고, 설비투자에만 관심을 가졌던 우리경제는 IMF를 한발 다가서게 했다.
우리는 1996년 OECD가입을 통한 1997년 국민소득 1만 달러를 달성하며, 세계경제대국 12위를 차지하는 등 겉만 거대한 선진국 대열에 서게 되지만 샴페인은 일찍 터진다. 국제적 위상으로서 한국경제는 신흥공업국가에 외자를 차용해주며, 성장위주에 관심을 쏟았다. 아시아 경제가 위기에 닥치고, 국내 기업의 부도가 계속되면서 한국 경제는 IMF 위기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원인은 과잉투자와 차입경영, 일반국민의 과소비, 경제정책을 입안·집행하는 경제관료의 무책임과 정책대응 오류 등에서였다.
참고 자료
< 참고문헌 >
1. 노동기본권의 이론과 실제, 이영희, 까치
2. IMF 1년과 한국경제의 변모, 삼성경제연구소
3. 광주지역 실직 근로자의 생활실태와 구직활동, 홍성우·양채열, 전남대학교 지역개발 연구소
< 조사보고서>
1. 공공근로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 고용·실업대책 광주범시민운동본부
2. 실업극복을 위한 길잡이, 노동부
3. IMF 극복위기 1년 반의 성과와 과제, 경제홍보기획단
4.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한국정신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