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의 세계] 안락사의 도덕적 정당성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서 론
본 론
Ⅰ. 안락사의 정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안락사의 역사적 배경
2.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안락사
3. 안락사의 정의와 유형 구분
4. 적극적 안락사 - 살인 개념에 대하여
5. 자발적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하여
6. 비자발적 안락사 - 공리주의를 중심으로
7. 소극적 안락사
Ⅱ. 안락사를 법제화한 각국의 사례
1. 네델란드
2. 호주
3. 미국
결 론
본문내용
안락사의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네델란드, 미국에서는 안락사가 법으로 허용되어 있고 - 미국은 1개 주만이 허용된 상태이다. - 호주에서는 허용되었다가 다시 의회에서 법을 뒤집어 불법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많은 안락사 운동단체들이 합법화를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철저하게 불법적인 것으로 금지되고 있다. 안락사는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인간관에 따라 그 의견이 정면으로 대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그만큼 결론이 나기도 쉽지 않은 문제임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안락사가 아직 사회의 큰 논쟁 대상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한 학기 동안 윤리학 수업을 들으면서 사이버 토론을 통해 안락사에 대해 토론하는 과정에서 찬반 양쪽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였던 것을 보면 우리와 전혀 무관한 논쟁은 아닌 것 같다. 개인적으로 안락사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해야할 상황을 겪었던 나로서는 안락사에 찬성하는 쪽으로 생각을 정리하고 안락사 찬성론자들의 주장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참고 자료
실천 윤리학, 피터 싱어
응용 윤리학, 바루흐 브로디
사회 윤리의 제문제, 제임스 레이첼즈
윤리학, 김형석
안락사의 도덕적 정당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우현순
개인 홈페이지, www.my.dreamwiz.com/belle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