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전파차단장치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 론
Ⅱ. 국내외 현황
1. 우리나라 현황
1) 이동전화 사용 발생후 상황
2) 정부의 정책방향
3) 정보통신부가 파악하는 이동통신의 무분별한 사용에 따른 폐해 유형
2. 일본사례
1) 일본의 현황
2) 일본정부의 방향
3) 일본 우정성의 이동전화 사용억제방안 주요내용
4) 일본 우정성의 전파차단 장치 설치에 의한 특정장소의 사용 제한
3. 그 밖의 사례
1) 프랑스
2) 스위스
3) 핀란드와 영국
4) 유럽지역
Ⅲ. 피해방지방안
1. 전파 차단 장치
1) 전파차단장치란?
2) 전파차단장치 사용요구 배경
3) 전파차단장치 도입시 제도적ㆍ기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사항
4) 기술적 문제점 (광운대학교 김종헌교수자료 인용)
2. 자동진동전환장치 & 자동 power off
3. 캠페인
1) 언론매체에서 담당
2) 이동통신 사업체에서 담당
3) 소비자 및 사회단체 : 대한주부클럽연합회
4) 정부기관
5) 외국의 예
Ⅳ. 결 론
본문내용
최근 이동 통신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으로 이동전화 등과 같은 무선 통신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가입자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정보통신부의 자료에 의하면 PCS 등 이동전화의 가입자수가 무려 2천만 명을 넘었다고 한다. 이 숫자는 우리 나라 인구가 4천5백만이라고 볼 때 약 2명 중 한 명이 이동전화 등의 개인 통신 기기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러한 이동통신의 발전은 한편으로는 생활에 많은 변화와 편리함을 가져다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공장소에서의 무분별한 이동전화의 사용으로 오는 심각한 소음공해 및 스트레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지하철 안에서의 끊이지 않는 벨소리와 무수한 사람들의 통화소리, 공연장에서 공연 도중의 벨소리는 많은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든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전자파에 의해 일어나는 문제를 '제 4의 공해' 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