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 정리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경기체가는 아제 학자들 사이에서도 큰 이견이 없는,
거의 정리가 끝나가는 국문학 장르이다.
내가 이 레포트를 써서 발표수업을 했을때도 별다른 지적이 없었다.
그대로 쓰면 될 듯 싶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기체가의 작품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2. 경기체가 시어의 양상과 미학적 특성.
3. 경기체가의 형식과 율격적 특성
4. 경기체가의 작가와 향유층의 실상
Ⅲ. 결론
본문내용
경기체가는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조 선조 때까지 약 350여 년간에 걸쳐 창작된 국문학상의 한 갈래다. 물론 「충효가(忠孝歌)」는 「독락팔곡(獨樂八曲)」보다 300여년 뒤인 1860년(철종 11년)에 쓰였으니 창작 기간은 거의 700년을 헤아린다고 할 수 있지만 시대적 상거가 워낙 먼 까닭에 문학사의 순시적 맥락에서는 배제해도 좋을 듯하다. 별곡체가로도 불리는 이 갈래는 정격 작품의 경우 '경기하여(景耭何如)' 또는 '.....경(景) 긔 엇더?니잇고'라는 구절이 각 연의 제 4구와 제 6구에 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므로 경기체가라는 명칭은 엄격한 의미에서 시가 갈래에 대한 명칭이라기보다는 여타 시가 갈래와의 변별적인 특성을 지칭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경기체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