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학] 한국의 색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33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학기 동안 만든 레포트 입니다..
내용도 제가 직접 다 작성한거구요...
목차
I. 한국인의 색채 의식 / 2
1.개괄 / 2
2.시대의 변화에 따른 의식 구조 / 2
II. 한국의 전통 오방색 / 3
1.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 – 음양오행설 / 3
2. 오방색에 대한 정의 / 6
3. 생활속의 오방색 / 7
III. 의생활 속의 오방색 / 17
1.전통복식의 배색 / 17
2.조각보 / 20
3.천연염색 / 22
IV. 식생활 속의 오방색 / 24
1. 음식 색에 대한 상징과 조상들의 인식 / 24
2. 오색 고명 / 25
3. 음식 속의 오방색 찾기 / 26
V. 주생활 속의 오방색 / 28
1. 단청 / 28
2. 궁궐, 관아, 사찰 등 / 30
3. 민가 / 31
VI. 기타 오방색 유물들 / 31
VII.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 33
1. 참고문헌 / 33
2. 인터넷 사이트 / 33
본문내용
1. 한국인의 색채 의식
우리의 선조들은 자연 그 자체를 생활의 터전으로 여기는 이른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최상의 규범으로 삼고 살아왔다. 넓은 땅을 지배하며 웅대한 문화를 자랑하던 중국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으나 우리나라 나름대로의 특색을 가진 사상으로 변천되어져 독특한 우리의 문화를 형성 할 수 있었다. ‘음양오행설 (陰陽五行說)’에서 기인된 ‘정색주의 (正色主義)’관념과 무채색을 생활 색채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민속사의 사례로 짐작해보건데 우리의 전통색채는 유채색 (有彩色)을 주로 사용하던 지배계급사회의 엄격한 정색관념으로 색채사용에 대한 순수성을 강조한 일면과 색채사용이 엄격히 통제된 평민계급 사회의 무채색 (無彩色) 관념이 또 다른 일면을 보이고 있으며 서로 상반된 두 관념의 길을 걸어옴으로서 자연스레 색채 발달의 흐름에 방해 요소를 하고 있다.
자연과 역사는 예술의 어머니라고 했듯이 지연환경은 그 나라의 예술이 취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 역사는 예술이 밟아야 할 경로를 설정해 주었다. 반도의 나라 한국은 쓸쓸함과 울분이 마음속에 맺힌 민족의 한을 선이라는 예술적 요소로 표현하고 있다.
참고 자료
1. 참고문헌
① 양계초등 / 음양오행설의 연구 / 신지서원 / 1993
② 박주현 / 알기 쉬운 음양오행 / 동학사
③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④ 통상산업부 / 한국 색채, 형, 문양특성에 관한 연구 3차년도 최종보고서 / 1995 / P.54-74
⑤ 한복진 / 전통음식 / 대원사
⑥ 한복선 / 명절음식 / 대원사
⑦ 김은영 / 전통매듭 / 대원사
⑧ 최성자 / 한국의 미 / 지식산업사 / 1994 / P.14-16
⑨ 두산동아 / 한국문화 상징사전 1,2 / 1996
2. 인터넷 사이트
① http://korea.insights.co.kr/korean/color/index.html
② http://chonhyang.com/html/k-color/1-1.htm
③ http://www.goodvill1.com/cust/woman/design_woman/joyinbox/colorK_index. html
④ http://nart114.com
⑤ http://www.aragaya.com
⑥ http://web.edunet4u.net/~nschool/house/h6-1.htm
⑦ http://www.jeonjubibimbab.co.kr/
⑧ http://www.botoko.com
⑨ http://100.naver.com
⑩ http://korea.insights.co.kr/korean/pojagi/index.html
⑪ http://seoul600.visitseoul.net
⑫ http://roset.sookmyung.ac.kr:5002/kattached/kmuseum/90.html
⑬ http://members.tripod.lycos.co.kr/jinmok/main.html
⑭ http://www.dapungmo.com/dic/akki_data/akkidata/mi52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