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논농업직접지불제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그림과 표가 많아 보시는데 도움되실겁니다
이자료가 보시는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국제적인 동향
3. 농업의 다원적 기능
4. 직접지불제와 외국의 사례
5. 논농업직접지불제
6. 맺으며
본문내용
3. 농업의 다원적 기능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원적 기능은 크게 식량안보, 환경보전, 농촌활력과 발전, 식품의 안전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량안보나 식품 안전성은 누구나 익히 알고 있고 공유하고 있는 부분으로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 여기에서는 환경보전에 초점을 맞추어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며, 특히 논농사에서의 다원적 기능에 대하여 이야기하려 한다.
우리나라는 여름에 강우가 집중되는 몬순기후대에 속하며 산이 전 국토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우리 농업은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한 형태로 발전하여 오랜동안 생산과 자연을 조화시키는 농업으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에 따른 환경적 편익이 매우 크다 하겠다. 경사지를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하여 여름철 집중 강우시 물을 막거나 흐름을 완화시켜 홍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경사지에서의 유실되는 흙이 쓸려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논농사는 물을 가두어 담수 하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토양을 통해 물은 지하수와 하천수로 흘러들어 간다. 즉, 논의 저수지 역할을 통해 수자원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또한 고온기에는 논과 벼에서 물이 증발산되면서 대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더운 여름날 아스팔트와 건물이 있는 곳과 논을 거의 동시에 가보면 잘 느낄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