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사 - 대공황에 대해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I. 서 론
II. 본 론
경제 사상적 배경
1. 제1차 뉴딜정책의 경제사상
2. 제2차 뉴딜정책의 경제사상
...
III. 결론
본문내용
뉴딜정책이 미국 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하나의 혁명과도 같았다. 자존심이 강한 그들이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서 몇 번의 실패와 실험을 거듭한 끝에 계획 경제라는 수정 자본주의를 사용함으로 이는 자유시장 경제에 일종의 메스를 댄 것과도 같은 행위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 성공여부에 있어서도 산업혁명과 같은 우연이 작용하였기에 성공의 정도가 더 강하였다. 말하자면 농업정책만 하여도 그들이 AAA를 통하여 이루었던 성과보다도 자연에 의한 악천후라든지 또는 제2차 세계대전에 의해서 우연히 이루어진 성과가 더욱 크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정책은 혁명적인 성격과 우연의 성격을 수반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혁명이라기 보다는 그들의 전통적인 체제에서의 수정과 보완에 의한 수확기이며 우연이 수반된 성과가 있는 기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특히 보수주의자 들의 입장에서는 뉴딜이 혁신주의 보다 그 목표가 더 다양하고 그 규모가 크고 그 방법이 대담하기는 하였지만 뉴딜이 미국 전래의 정치, 경제, 사회체제를 근본적으로 개혁할 것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것은 여전히 미국의 과거의 민주적 전통에 뿌리 박고 있는 것이었으며 그 유산을 계승하면서 보다 나은 방향으로 전환시켜 놓은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뉴딜은 과거의 민주적 전통, 특히 혁신주의와의 단절이나 급격한 이탈이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참고 자료
박 무성. “뉴딜연구”. 1979.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Keynes, J. M. :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Harcourt, Brace & World, Inc,. New York .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