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쓰레기처리방안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저는 맘에 안드는 자료는 올리지 않습니다
이 자료도 제가 서울대생한테 직접 받은 자료입니다
학점은 물론 A+이지요..
적극 추천합니다..나중에 다운받으시고 좋으시면 리플달아주세요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제 멜로 연락주세요...최선을 다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거시적 방안
1)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재활용
2) 재활용의 전제 조건 - 생활 속의 분리수거
(2)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실천 방안
3) 쓰레기의 부피를 줄입시다
4) 각종 찌꺼기의 재활용 방법
5) 버려지는 물에게도 관심을
3. 결론
본문내용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쓰레기는 해마다 10%정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쓰레기의 양은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 평균 두 배 이상이나 많다고 한다. 이렇게 해마다 쌓이는 쓰레기는 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골치덩어리가 되고 있다.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매각 방식과 소각 방식이 있다. 일본의 경우 3천 3백여 개의 소각로를 운영해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있는데 선진국의 대부분은 쓰레기를 태우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쓰레기 소각장이 손꼽을 정도로 적어 쓰레기의 대부분을 땅 속에 묻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땅 속에 묻힌 쓰레기는 환경을 또 한번 더럽혀 문제가 되고 있다. 쓰레기에서 나온 오수가 지하수와 하천을 오염시키고, 쓰레기에서 나온 가스는 언제 폭발할 지 모르는 위험을 안고 있다. 또한 쓰레기 매립 후 흙을 덮고 소독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것을 지키지 않아 매립장 주변 주민들은 악취와 해충에 시달리고 있다. 그래서 쓰레기 매립지역으로 선정되면 그 지역의 주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해 정부와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김포의 주민들도 쓰레기의 악취와 더러운 물에 시달리다가 결국은 물기 있는 쓰레기는 받지도 않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6백여개의 쓰레기 매립장이 있다. 그 중 대여섯 개의 쓰레기 매립장에는 더러운 물이 지하수를 더럽히지 않도록 차단벽을 설치했지만 나머지는 차단벽이 없이 무조건 쓰레기를 쏟아 붓는 단순매립지이다.
참고 자료
환경설비개론 폐기물처리기술 연소공학 환경공학개론 생태개론
일반폐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