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it산업의 현황과 전망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Ⅰ. 서 론
Ⅱ.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산업의현황
1. 정보통신 산업의 개념
2 .유럽과 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는 미국의 신경제
1) 신경제를 정착시키기 위한 조건들
2) 정보기술인력의 부족은 신경제 확산의 가장 큰 장애물
3. 우리나라 정보통신 산업
1)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추이
2) 국민경제에서의 정보통신 산업의 위상
경제성장
설비투자
수출입
고용
Ⅲ. 정보통신 발달의 경제적 파급효과
1. 디지털 경제화
2. 경제적 파급효과
1) 소비활동의 변화
2) 기업활동의 변화
3) 시장구조의 변화
4) IT와 거시경제
3. 정보통신기술 이용도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 정도
1) IT와 산업
2) 실증분석
4. 정보통신혁명의 문제점
1) 실업문제
2) 정보 불평등 문제
3) 문화제국주의의 위협
5. 디지털 경제에서 정책 패러다임
1) 신경제와 거시경제 정책
2) 디지털 경제에서 정책 방향
6. 결 론
Ⅴ. 결 론
본문내용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되고 있는 미국 경제의 고성장·저물가 현상은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른 경제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기인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실증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 나라에서도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보통신 산업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경제 성장을 선도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정보통신 산업의 생산성은 크게 증대되고 있으나 여타 산업의 생산성 증가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아직까지는 정보통신 산업의 생산성 향상 효과가 전체 산업으로 파급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나라의 경우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정보통신기구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기간이 짧고 인터넷, 전자상거래 등 디지털 경제로의 진입도 늦었던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 김영락. 인터넷 무역실무. 도서출판 21세기 북스사. 2000년 3월.
- 이태완.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무역. 도서출판 장산. 1999년11월.
- "월간 정보화사회" 김대규 한국EDI협의회 위원장 P.22-24
- 과학기술부. [디지털경제시대의 과학기술분야 과제]. 2000년 3월.
- 김기홍(1999a), [인터넷 전자상거래 서비스산업], KIET 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 시리즈 제31 호, 산업연구원.
- [인터넷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KIET 정책자료 1999년 제139호, 산업연구원.
- [전자상거래와 기업 : 소비자에 대한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KIET 정책자료 1999년 제113 호, 산업연구원.
- [전자상거래 : 새로운 시장의 대두], KIET 정책자료 1999년 제89호, 산업연구원.
- "COMPUTER & COMMUNICATION 96.8" LG-EDS시스템 CIM 실장 김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