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헌법] 성희롱

"[헌법] 성희롱"에 대한 내용입니다.
9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1.10.22 최종저작일 2001.10
97P 미리보기
[헌법] 성희롱
  • 미리보기

    목차

    국문초록

    제1장 序論
    제1절 問題提起
    제2절 硏究目的
    제3절 硏究方法 및 硏究範圍
    제2장 性戱弄의 槪念
    제1절 美國에서의 論議
    1. 學者들의 槪念定義
    2. 美聯邦平等雇傭機會委員會指針(EEOC Guidelines)에 따른 定義
    3. 美聯邦 大法院의 見解
    제2절 우리나라에서의 論議
    1. 學說
    2. 法院의 立場
    3. 結語
    제3장 性戱弄의 類型
    제1절 性戱弄이 문제되는 領域
    1. 勤勞現場(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2. 學校(sexual harassment on campus)
    제2절 性戱弄의 類型
    1. 報復形 性戱弄(Quid Pro Quo)
    2. 環境形 性戱弄(Hostile Environment Sexual Harassment)
    3. 兩者의 差異點
    4. 判例
    제3절 性戱弄의 行爲態樣
    제4장 性戱弄에 대한 法的 接近方式
    제1절 美國에서의 論議
    1. 1980년 이전
    2. 캐서린 맥키논 ( Catharine Mackinnon )의 새로운 접근방식--
    性差別의 일종으로서의 性戱弄
    3. 法院의 立場變化槪觀
    제2절 日本에서의 論議
    제3절 獨逸에서의 論議
    제4절 우리나라에서의 論議
    1. 雇傭關係上 性戱弄의 一般的 考察
    (1) 性戱弄의 發生原因
    (2) 性戱弄의 被害와 影響
    (3) 不法行爲로서의 成立要件
    2. 性戱弄의 憲法的 問題點 - 違法性의 認定과 관련하여
    (1)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
    (2) 법 앞의 평등
    (3) 근로관계의 권리
    (4) 사생활의 자유
    3. 우리나라 法院의 立場
    (1) 사건의 개요
    (2) 서울地方法院의 입장
    (3) 서울高等法院의 입장
    (4) 결어
    4. 結論
    제5장 性戱弄의 判斷基準
    제1절 美國에서의 論議
    1. 合理的인 人間 基準( Reasonable Man Standard )
    2. 合理的인 女性 基準( Reasonable Woman Standard )
    3. 두 基準의 差異點
    4. 두 基準에 관한 贊反論議
    (1) 합리적 여성 기준을 찬성하는 견해
    (2) 합리적 인간 기준을 찬성하는 견해
    5. 미연방 대법원과 각 주 대법원의 입장변화개관
    제2절 우리나라에서의 論議
    1. 原告의 主張
    2. 法院의 判斷
    3. 學說
    제3절 結論
    제6장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본문내용

    법적인 용어로 性戱弄은 위협적, 적대적 혹은 공격적인 근로환경을 창출하는, 일에 있어서의 원치 않는 성적인 접근이나 행동을 의미한다. 그것은 합리적인 여성이나 남성이 참아낼 수 없는 근로자의 성과 관련된 공격적 행동이다. 性戱弄의 형태는 공격적인 성적 풍자에서부터 육체적 부딪침에 이르기까지, 혐오스런 농담에서부터 강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것은 때로는 가해자의 과도한 성적 욕망에서 나오기도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공포나 혐오 또는 힘에 기인한 것이다. 실로 性戱弄은 성에 관한 문제라기 보다는 권력에 관한 문제이다.
    訴訟化할 수 있는 性戱弄은 두가지 형태를 가진다. 가장 명확한 형태는 報復形 性戱弄으로서, 그것은 성적인 요구에 대한 대가로 어떤 고용상 이익이 주어지거나 그 요구를 거부한 결과 고용상의 어떤 불이익이 주어지는 경우이다. 보다 덜 명확한 형태의 性戱弄은 環境形 性戱弄으로서, 성적인 행위가 근로현장에 널리 퍼져 피해자의 고용기간이나 조건을 변경시키고 적대적이고 위협적인 근로환경을 창출하는 경우이다.

    참고자료

    · [우리나라]
    · 1. 단행본
    · 권영성, 1994, 憲法學原論(신판), 법문사, 서울
    · 조엘 프리드만, 마르시아 보우밀, 바바라 테일러 저, 우영은 역, 1994, 이 것이 성희롱이다, 여성사,서울
    · 김학준, 강기원, 1995, 직장에서 플레이보이를 봐도 됩니까, 여성신문사, 서울
    · 한국여성민우회, 직장내 성희롱 지침서
    · 짐 콘웨이. 샐리 콘웨이 저, 김석향 역, 1994, 성희롱 이제 비상구가 없다, 행림출판, 서울
    · Billie Wright Dziech, Linda Weiner 저, 동인기획실 역, 1992, 캠퍼스의 성희롱, 동인, 서울.
    · 정책자료 90-7집, UN여성차별철폐협약-우리나라 제1,2차보고서
    · 2. 논문
    · 김양희, 1995, 직장여성의 성희롱 경험과 관련정책에 관한 의식, 여성연구 49 : 36-56
    · 장필화 외 4인, 1994,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이해와 대처방안의 모색 - 지침서 계발을 중심으로-, 여성학 논집 11 : 1-35
    · 심영희, 1995, 몸의 권리와 성관련법의 개선안: 권력과 성의 관계를 중심 으로, 한국여성학 11 : 72-107
    · 신용자, 1996, 남여평등정책의 추진과 사실상의 평등실현, 여기자 6 : 35-58
    · 3. 잡지
    · 박주현, 1995, 남녀고용평등법에 직장내 성희롱금지조항 신설되어야, 계간 사무직 여성(봄) : 90
    · 박성호, 1995, '성희롱'은 새로운 유형의 불법행위인가, 사무직 여성 (봄) : 44-48
    · 배금자, 1995, 역사를 거스르는 성희롱 2심판결, 사무직 여성 (봄) : 50-56
    · 서울대 조교 성희롱사건 공동대책위원회, 1심, 2심판결의 법리 및 사실관 계 비교, 사무직 여성 (봄) : 58-65
    · 4. 판례
    · 서울민사지방법원 93가합77840 판결
    · 서울고등법원 94나15358 판결
    · [미 국]
    · 1. 단행본
    · Catharine A. Mackinnon, 1987, Feminism Unmodified,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 , 1979, Sexual Harassment of Working Women,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 , 1993, Only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 Martha J. Langelan, 1993, Back Off, Fireside Book, New York
    · William Petrocelli & Barbara Kate Repa, 1992,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Nolo Press Berkeley Berkeley Ca
    · Ralph H. Baxter & Lynne C. Harmle, 1989,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3rd ed.), Executive Enterprise Publi cations Co, Inc, New York
    · Edmund Wall, 1992, Sexual Harassment, Promettheus Books, Buffalo, <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