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 1. 단행본
· 권영성, 1994, 憲法學原論(신판), 법문사, 서울
· 조엘 프리드만, 마르시아 보우밀, 바바라 테일러 저, 우영은 역, 1994, 이 것이 성희롱이다, 여성사,서울
· 김학준, 강기원, 1995, 직장에서 플레이보이를 봐도 됩니까, 여성신문사, 서울
· 한국여성민우회, 직장내 성희롱 지침서
· 짐 콘웨이. 샐리 콘웨이 저, 김석향 역, 1994, 성희롱 이제 비상구가 없다, 행림출판, 서울
· Billie Wright Dziech, Linda Weiner 저, 동인기획실 역, 1992, 캠퍼스의 성희롱, 동인, 서울.
· 정책자료 90-7집, UN여성차별철폐협약-우리나라 제1,2차보고서
· 2. 논문
· 김양희, 1995, 직장여성의 성희롱 경험과 관련정책에 관한 의식, 여성연구 49 : 36-56
· 장필화 외 4인, 1994,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이해와 대처방안의 모색 - 지침서 계발을 중심으로-, 여성학 논집 11 : 1-35
· 심영희, 1995, 몸의 권리와 성관련법의 개선안: 권력과 성의 관계를 중심 으로, 한국여성학 11 : 72-107
· 신용자, 1996, 남여평등정책의 추진과 사실상의 평등실현, 여기자 6 : 35-58
· 3. 잡지
· 박주현, 1995, 남녀고용평등법에 직장내 성희롱금지조항 신설되어야, 계간 사무직 여성(봄) : 90
· 박성호, 1995, '성희롱'은 새로운 유형의 불법행위인가, 사무직 여성 (봄) : 44-48
· 배금자, 1995, 역사를 거스르는 성희롱 2심판결, 사무직 여성 (봄) : 50-56
· 서울대 조교 성희롱사건 공동대책위원회, 1심, 2심판결의 법리 및 사실관 계 비교, 사무직 여성 (봄) : 58-65
· 4. 판례
· 서울민사지방법원 93가합77840 판결
· 서울고등법원 94나15358 판결
· [미 국]
· 1. 단행본
· Catharine A. Mackinnon, 1987, Feminism Unmodified,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 , 1979, Sexual Harassment of Working Women,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 , 1993, Only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 Martha J. Langelan, 1993, Back Off, Fireside Book, New York
· William Petrocelli & Barbara Kate Repa, 1992,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Nolo Press Berkeley Berkeley Ca
· Ralph H. Baxter & Lynne C. Harmle, 1989,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3rd ed.), Executive Enterprise Publi cations Co, Inc, New York
· Edmund Wall, 1992, Sexual Harassment, Promettheus Books, Buffalo, <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