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중관파와 유식파의 비교
- 최초 등록일
- 2001.06.10
- 최종 저작일
- 2001.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중관파와 유식파란?
- 중관파
- 유식파
중관파와 유식파의 비교
-중관파에서 본 인간관
-유식파에서 본 인간관
본문내용
중관파
인도 대승불교의 중요한 학파의 하나로, 중도(中道)를 관하는 학파라는 뜻이다. 용수(龍樹 ; 150?-250?)의 《중론(中論)》을 기본으로 하여 반야공관(般若空觀)을 선양한 학파로서 후에 유식(唯識)을 설하는 유가행파(瑜伽行派)와 함께 인도 대승불교의 2대 사상이 되었다. 《중론》의 설은 모든 존재가 연기성(緣起性 ; 相依相待的 관계)이기 때문에 그 자체의 고유한 자성이 없으며 그러므로 공이라 한다. 그런데 이 공은 유·무의 극단이 없는 것이므로 중도라는 것을 올바르게 관찰하는 데에 깨달음이 있다고 한다.
참고 자료
·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高麗大藏經硏究所 (http://211.46.71.249/webterm/webterm.exe)
·지상불교대학 (http://bubwangsa.or.kr/edu/01edu0006.htm)
·대한불교진흥원 (http://www.buddhistpromotion.org/)
·정운갑-밀교와 불교세계 (http://myhome.bbi.co.kr/o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