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학수련의필요성
- 최초 등록일
- 2001.05.16
- 최종 저작일
- 2001.05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단학수련(몸공부+마음공부)의 필요성
1.몸공부의 필요성
2.마음공부의 필요성
본문내용
과거에는 민주화를 위해서 또 여러 사회운동에도 관여한 김지하씨도 “사회구조, 제도를 아무리 혁파해도 그것을 지지하는 민중의 마음이 바뀌지 않는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말한바 있다.
저는 단학 수련을 하면서 놀라운 체험을 했습니다. 어렸을 때 개미를 잡아다 돋보기로 태워 죽이면서 놀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제가 몇 년전 친구와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친구가 갑자기 작은 돌을 하나 집어들더니 앞에 지나가던 벌레한테 던지는 것이었습니다. 벌레는 그 돌에 맞아 허리가 끊기면서 고통스러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광경을 본 순간 저는 가슴이 아팠습니다.
저는 여기서 환경문제의 해결의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아 그래 환경문제는 생명에 대한 외경심 그거다.’ 공장폐수를 정화하지 않고 흘려보내는 것을 단속하려고 벌금을 세게 물린다든지 그것에 관한 법률과 제도를 강화하는게 고작이었는데 그러면 뭐하나 요즘 뉴스에도 종종 그것을 감시하는 경찰이나 공무원과 짜고 뇌물 받아먹고 눈 감아준게 보도되고 있는 현실인데.
벌레가 죽는걸 보고 가슴아팠다는게 이상하게 생각될지도 모르겠는데 자 다시 한번 생각해 봅시다. 우리는 가족이나 친한 친구가 않 좋은일을 당하면 가슴이 아프죠. 이건 너무 당연한 거죠. 원래 사람은 타인의 불행을 보면 가슴이 아픈겁니다. 근데 인격이 훌륭한 사람은 원수가 잘못되어도 가슴이 아프고 그 사람을 용서하기까지 합니다. 그럼 그 사람이 이상한 겁니까? 이걸 이렇게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사람에게는 본래 만물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감각이 있었다. 그런데 환경오염, 갈수록 이기적으로 되가는 사람들의 마음이 그런 감각을 퇴화시킨거다. ...
전 지구 의식이란 ‘우리는 하나다,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 라는 의식으로서 우주 비행사들이 로켓을 타고 지구를 바라보면 하나의 구슬 같은 지구를 볼 때 어떤 황홀감을 동반하면서 우리는 하나구나 하는 강한 연대의식을 느낀다고 합니다. 바로 이런 의식의 차원으로 승화시켜주는 수련이 필요합니다. 그게 단학 수련이라는 겁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