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내 문제행도 대처방법
- 최초 등록일
- 2000.09.22
- 최종 저작일
- 2000.09
- 4페이지/
HTML
- 가격 1,500원

*해당 문서는 미리보기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목차와 본문을 참조 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문제행동의 의미와 유형
Ⅱ. 문제행동의 중재방법
1. 심리역동적 방략
2. 행동적 방략
3. 인지행동적 방략
4. 생태학적 방략
본문내용
Ⅰ. 문제행동의 의미와 유형
사람은 누구나 정신적으로 갈등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다. 자기 내적인 기질 때문에, 환경이 변하거나 자기자신이 부당하게 취급당하고 있다고 생각했을 때, 우리는 부적응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문제행동들은 정상적인 사람들에게도 나타나지만 곧 소멸되거나 지속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러한 행동이 지속적이고 빈번하게 나타나고 그리고 그 강도가 심할 때 일종의 장애로 생각할 수 있다.
문제학생이라고 하는 말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문제행동이라고 하는 용어에도 여하튼 부정적인 의미가 따라 다닌다. 문제학생이라고 하는 말은 본래는 부정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문제가 아니고 해결을 필요로 하는 문제(고민)를 안고 있는 학생이라는 의미이고 반드시 부정적인 가치 판단을 받는 학생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문제학생이라고 하는 말에는 본인이 문제를 안고 있는 학생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부모나 교사 등 주변 사람들에게 문제를 던지고 있는 학생이라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선학교에서는 타고난 성격과 부모 양육형태 등이 제각기 다른 다양한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으며 이들 학생들 중에는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학생이 학급당 2∼3명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필자는 추정하고 있다. 사실 일반학급에는 학습부진, 학습지진, 학습장애, 경도의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학생이 혼재하고 있으며, 이들 장애는 상호 관련이 있어서 어떤 학생은 정서·행동장애가 원인이 되어 학습부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또 다른 학생은 경도의 정신지체가 원인이 되어 정서·행동장애를 수반하는 예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학생을 학습장애,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라고 극단적으로 명칭을 붙이기는 현실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문제행동을 지나치게 자기자신을 통제하여 야기되는 위축, 불안과 자기자신을 통제하는 능력이 극히 부족하여 생기는 행위장애,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장애의 두 축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학교생활에서 지나치게 수줍어하거나 두려워하여 사회적 활동을 하는데 있어 또래로부터 거부당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학생과, 주의집중능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이며 공격적이며 각종 비행을 저지르며 욕구불만에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부모와 교사의 관심의 표적이 되는 학생들을 모두 지칭하는 용어로서 이해했으면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