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과 소프트웨어
- 최초 등록일
- 2001.05.15
- 최종 저작일
- 2001.05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서론
본론
I. 전자책의 문서표준
1. XML
2. HTML
3. PDF
II. 전자책을 위한 소프트웨어
1. 전자책을 위한 소프트웨어
2. 현재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리더
III. 저작권과 보안
IV. 컨텐츠
1. 컨텐츠
2. 전자책 컨텐츠의 시장 현황.
3. 각 컨텐츠 제공 사이트의 특징과 현황.
4. 요약 및 분석
결론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본문내용
첫째로 전자책에서 사용하는 표준문서에 대하여 말할 것이다. 책의 내용을 전자적 매체에 담기 위해서는 컴퓨터에서의 문서 작성과 같이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전자책에 적합한 표준문서를 살펴보았을 때 지금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것은 PDF와 XML에 대한 것인데 간략하게 말하여 PDF는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파일을 기반으로 아크로벳 리더(Acrobat reader)로 유명한 어도비 시스템에서 개발한 파일 포맷이다. 그것의 장점은 컴퓨터의 기종이나 운영체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문서의 편집이나 출력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텍스트와 그래픽, 이미지 등의 삽입이 자유롭고 폰트나 색깔도 쉽게 편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XML의 경우 1996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안되었는데 HTML보다 홈페이지 구축 기능, 검색 기능 등이 향상되었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가 웹에 추가할 내용을 작성, 관리하기에 쉽게 되어 있다. 그밖에 HTML등이 있다.
그리고 전자책 제작과 및 프로그램에 대한 것인데 거기에는 단연 어도비가 돋보인다. 어도비는 PDF할 때 잠깐 언급하였던 회사로 전자책에 선두에선 회사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회사들이 전자책 제작에 뛰어들었고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리고 개인들의 컴퓨터에서도 전자책을 볼 수 있도록 하는 PC용 프로그램이라든지 PDA같은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책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단말기용 프로그램도 많은 개발이 되고 그것이 상품화되어 많은 이득을 주기도 한다.
세 번째로 컨텐츠에 대하여 말을 할 것인데, 단순한 글짜, 만화 , 동영상 같은 컨텐츠의 종류에 대하여 조사할 것이며 컨텐츠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그것의 전망에 대한 고찰을 해 볼 것이다. 그리고 불법적인 복사를 막기 위하여 보안 시스템에 대하여 말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