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문서 교환 (EDI)
- 최초 등록일
- 2000.09.26
- 최종 저작일
- 2000.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I. 序
II. 전자문서교환의 구성요소
1. EDI의 환경요소
2. EDI의 표준
3. EDI 소프트웨어(사용자 시스템)
4. EDI 중계 센터 또는 제3자 통신망
III. 전자 문서 교환의 효과
IV. EDI활용 현황
본문내용
I. 序
1986년 7월 10일자 뉴욕 타임즈 기사에 의하면 EDI의 정의는 "일정한 형태로 정형화된 명료한 내용의 거래, 행정관련 문서를 당사자 전체가 합의한 규약에 맞추어 컴퓨터 통신회선을 통해 상호 전송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Hinge는 EDI의 정의를 살펴보면 기업 간에 컴퓨터와 컴퓨터를 통해서 표준 양식의 기업 문서를 교환하는 시스템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Davis는 표준 디지털 양식의 문서를 컴퓨터를 통해 교환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외 여러 정의가 있으며 우리나라 전자상거래위원회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는 사용자간에 각종 행정 및 상거래 문서를 서로 합의된 표준을 사용하여 컴퓨터간의 직접 통신에 의해 교환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정의하면 규격화된 표준을 이용한 상호 합의에 의해 법적 효력을 갖는 컴퓨터 통신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EDI가 국내에 소개된 것은 1990년대 초이다. 그러나 EDI는 1960말 운송업체에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1970년대 말에 EDI의 표준을 마련 하기 위해 X.12위원회가 구성되었고 미국 산업 표준(ANSI)은 이 위원회를 ASC(Accredited Standard Commitee)로 정식 승인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