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치행정] 법치행정의 원리.
- 최초 등록일
- 2000.09.21
- 최종 저작일
- 2000.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대륙법계국가와 영미법계국가에서의 법의 지배
Ⅲ. 법치행정의 원리의 내용
Ⅳ. 법치행정의 원리와 문제점
Ⅴ. 우리나라에 있어서 법치행정의 원리
Ⅵ. 맺음말
※. 참고문헌
1. 김남진, 행정법Ⅰ, 서울 : 법문사, 1998.
2. 김원주·이철주 공저, 서울 :한국방송대학교, 2000.
3. 박윤흔, 최신 행정법 강의(상), 서울 : 박영사, 1998.
4. 홍준형, 행정법 총론, 서울 : 도서출판 한울, 1994.
본문내용
法治行政의 원리라 함은 국가작용중 행정권의 행사는 헌법과 법률에 의하여야 하며, 행정권의 행사를 통하여 불이익을 당한 사람에게는 이를 구제할 수 있는 제도가 잘 갖추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전제 군주시대에서는 군주가 자의적으로 국가권력을 행사하여 국민의 자유와 기본권에 대한 침해를 하여왔으나, 19세기 자유주의적 정치사상이 성숙함에 따라 시민은 전제권력에 대항하였고, 그 결과 시민혁명이 승리함에 따라 국민대표의 동참하에 성립된 헌법과 법률에 의하여 행정권이 행사되도록 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인 제도는 각 나라의 정치발전 상황에 따라 다른데, 일반적으로 볼 때 大陸法系國家(특히 독일)의 법률
에 의한 지배와 英美法系國家의 법의 지배형태로 발전하여 왔으며, 우리나라는 대륙법계국가의 영향을 받았으나 오늘날은 영미법계의 영향도 받고 있다. 이는 유럽 행정법이 발전함에 따라 양 법계가 상호 접근 융합해 가고 있는 것의 영향을 받고 있다.
법치행정의 원리는 행정행위가 법에 기속하여 수행함으로서 막강한 공권력으로부터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보호하고자 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였고, 지금은 국민의 생존권적 기본권 보장등 적극적 급부행정을 담보하기 위하여 법치행정의 영역을 확대하여 실체법 뿐만 아니라 절차법적 체제도 법규화 하자는 추세에 있다.
참고 자료
없음